유통&소비생활

한국산 '풋고추'... 호주 수출시장 확대 기대

-검역본부, 한국산 파프리카 호주 수출 요건으로 청양고추 등 풋고추 수출 활로 터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봉균)는 한국산 풋고추(Capsicum annuum)의 호주 수출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최근 검역본부는 청양고추, 아삭이고추 등 국내산 풋고추의 호주 수출을 희망하는 국내 농가와 수출 업체의 수요를 확인하고, 호주 검역 당국과 협의를 진행하였다.

 

검역본부는 호주 검역 당국과 2009년에 협상을 완료하고, 수출이 진행 중에 있는 한국산 파프리카 검역 기준을 풋고추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최근 협상을 마쳤다.

 

검역본부는 고추가 이미 수출이 허용된 파프리카와 같은 종으로 학명이 같고, 병해충에 대한 기주로서의 특성도 거의 같은 것을 근거로 호주 측에 한국산 파프리카 수출 요건을 풋고추에도 확대 적용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2개월간의 협상을 거쳐 최근 한국산 풋고추의 호주 수출 요건에 합의하였다.

 

한국산 풋고추를 호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기존 파프리카와 같은 기준에 따라 수출농가(온실)와 선과장으로 구성된 수출단지를 검역본부에 등록해야 하고, 병해충 방제 등 적절한 재배관리를 해야 한다.

기형과 또는 병해충 피해를 입은 고추 등을 잘 선별해야 하며, 농약안전사용 기준을 준수한 병해충 관리를 통해 호주의 검역병해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등 생산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번 협상을 주도한 검역본부 임규옥 연구관은 “호주로 풋고추를 수출하고자 하는 농가는 철저한 재배 관리와 선과를 당부드리고, 아울러 생산비 절감을 통한 수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호주 수출용 고추 재배 시설의 방충망 설치 기준도 완화했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