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GS&J 대혁신 도전장…플랫폼 방식 도입으로 문호 개방

이정환 이사장, ‘덕후’가 되고자 하면 누구나 연구소 조직할 수 있게 지원

GS&J 대혁신 도전장플랫폼 방식 도입으로 문호 개방

덕후가 되고자 하면 누구나 연구소 조직할 수 있게 지원 

         

설립 12년차를 지낸 GS&J2018년부터 플랫폼 방식을 도입하기로 하였다. 플랫폼 방식이란 연구하는 일 자체 기쁨과 가치를 느끼는 사람은 누구나 GS&J에 들어와 연구소를 조직하여 뜻을 펼칠 수 있도록 한다는 것.

 

농업, 농촌, 식품, 환경, 통상, 북한, 동북아, ODA, 관련된 경제정책 연구에 매몰 되고 싶은 사람이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의 연구소 설립 제안서를 보내면, GS&J는 오피스와 필요한 행정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덕후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정환 GS&J 이사장은 "제안서가 제출되면 일정한 검토과정을 거치지만 나이, 성별, 학벌, 경력을 떠나 진정한 ‘덕후 되려는 사람이면 대환영이라고 강조했다. 경제사회적 여건이 급변하는 상황에서는 싱크탱크의 벽을허물어 천하의 인재들이 날아들 수 있게 해야 하고, 천하의 인재란 연구하는 일 자체에 기쁨과 보람을 느끼는 바로 그런 사람"이라고 말했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