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전통식품문화관 “부실운영”

월 운영비 6,400만원, 월 매출은 1,600만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전통식품문화관 “부실운영

월 운영비 6,400만원월 매출은 1,600만원

1일 방문객 50명에 안내요원만 11

자유한국당 안상수 의원은 19일 열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국정감사에서 전통식품 문화관 ‘이음적자운영방만운영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부터 전통식품문화관 ‘이음은 전통식품 소비확대를 위해 전통주 판매 및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곳으로 강남에 단독건물로 임대해서 운영하고 있다

 

임대료 포함 월 운영비가 6,400만원이 소요되는데 월 매출은 1,600만원에 불과에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뿐만 아니라 방문객이 1 50명에 불과한데 안내요원은 11명으로 방문객보다 더 많은 인력이 운영되기도 한다.

 

안 의원은 “전통식품문화관을 만들어 제기능도 못하고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전통식품문화관 운영상태를 재점검해 폐쇄까지 고려하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박시경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저수지 '녹조' 선제적 대응...‘깨끗한 농업용수’ 공급 박차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7일 농업인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깨끗한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선제적 녹조 대응’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짧은 장맛비 이후 이어진 폭염으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녹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의 경우, 물 흐름이 정체된 경우가 많아 녹조가 빠르게 확산할 우려가 있다. 공사는 녹조 오염을 최소화하고 깨끗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예찰부터 제거에 이르는 선제적 녹조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 6월부터 8월까지를 ‘녹조 예찰 강화 기간’으로 지정했으며, 전국 354개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월 2회 이상 현장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있다. 90개 주요 저수지에 대해서는 사물인터넷 센서를 설치해 수온, 탁도, 오염도 등을 실시간 감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녹조 발생 징후를 조기에 포착하고 대응하고 있다. 모니터링 과정에서 녹조가 확인되면 발생 수준에 따라 ‘관심-주의-경계-심각’의 4단계로 구분해 대응하며, 화학적 제거와 물리적 차단을 병행해 녹조 확산을 억제하고 있다. 단계별로 녹조 제거제를 살포하고, 녹조 제거선과 조류 차단막을 활용해 녹조의 원인인 조류 번식을 차단한다. 김이부 한국농어촌공사 환경관리처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