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aT 학교급식조달시스템(eaT), 위반업체 태반”

작년 사후점검 업체 51.5% 부정행위 적발, 학생 건강권 위협

“aT 학교급식조달시스템(eaT), 위반업체 태반

작년 사후점검 업체 51.5% 부정행위 적발학생 건강권 위협

제한적 최저가입찰제가 급식비리 양산 지적도 

농수산물유통공사(aT)가 운영하고 있는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eaT)의 등록업체 상당수가 부정행위로 적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 건강권이 위협받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 서귀포시)이 농수산물유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 공급업체 사후점검 현황' 따르면 지난해 공급업체 사후점검에서 점검업체200개소 중 103개 업체(51.5%) 부정행위로 적발됐다.

 

연도별로는 2015년 점검업체 97개소 가운데 무려 70.1%에 달하는 68개소가 적발됐고, 2016년에는 200개소 중103개소(51.5%), 올해도 8월까지 352개소 중 151개소(42.9%)가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적발업체의 부정행위별로는 최근 3년간(‘15.1~’17.8) 타 업체 공동관리가 122건으로 가장 많았고부정입찰이 120대리납품이 36영업장 미운영이 31기타 13건 등이었다.

 

농수산물유통공사는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에 대해 서류 심사와 현장 실사사후 관리 등으로 식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철저한 회원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고소개하고 있다하지만 실상은 등록업체 상당수가 부정행위로 적발되고 있는 것이다.

 

농수산물유통공사는 적발업체에 대해 일정기간 입찰을 제한하는 등의 페널티를 부과하고 있다는 입장이지만일각에서는 특정 업체가 여러 개의 유령 회사를 만들어 입찰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제재의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와 같은 주장은 적발업체 부정행위의 대부분이 타 업체 공동관리부정입찰대리납품영업장 미운영 등 유령업체 가능성 높다는 데서 근거가 없지 않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의 전자입찰방식이 제한적 최저가입찰제로 운영되고 있어 납품 식재료의 품질 관리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제기된다입찰 과정에서 가장 많은 금액 대에 투찰한 업체 중 최저가를 써낸 업체가 낙찰 받는 식의 입찰 방식이 위장·유령업체의 난립입찰 담함 비리 등을 야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농수산물유통공사는 입찰 금액 대를 15단계로 나누어 업체 당 2곳의 금액 대에 투찰할 수 있도록 하고투찰이 가장 많은 금액 대에서 최저가를 써낸 업체를 납품업체로 선정하는 제한적 최저가격 입찰제를 운영하고 있는데이러한 제도는 실제 품질 관리와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농수산물유통공사는 전국 초··고등학교의 88%에 달하는 1 282개 학교가 이용하고 있고거래실적만 해도 연간 2조원이 넘는 학교급식전자조달시스템의 운영을 통해 지난해 학교로부터 22 6900만원공급업체로부터 22 8700만원 등 50억원 이상의 수수료 수익을 챙겼다.

 

위성곤 의원은 "등록업체 상당수가 부정 업체라는 사실은aT가 학교급식 납품 식자재의 안전성은 외면하고 있는 결과"라고 지적하고 "많은 학교가 정부의 관리를 믿고 급식용식자재를 구입하고 있는 만큼 등록업체 관리 기준 조정 등 학교급식의 안전성과 학생들의 건강권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남길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들 발끈...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철폐 강력 반대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은 7월 16일(수) 14시부터 서울 용산구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한-미 상호관세 협상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철폐 반대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하였다. 미국 측이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통상 당국이 상호관세 조정 협상 카드로 농축산물 관세·비관세 장벽 완화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농촌 현장의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산 농축산물의 5위 수입국으로 한-미 FTA 발효 후 사실상 농축산물 관세를 대부분 철폐하였으며, 그 결과 지난 15년간 대미 수입은 56.6%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세·비관세 장벽의 추가 해소 시 사실상 완전 개방에 가까워 국내 농업생산기반의 붕괴마저 우려된다. 특히 동식물 위생·검역 및 유전자변형생물체(LMO) 등 비관세 장벽 규제 완화는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는 사안으로 단순히 농업인만의 문제라 볼 수 없다. 이에 한농연중앙연합회 및 시·도연합회 임직원 40여명은 대한민국 농업의 지속성 확보와 5천만 국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거리로 나서게 되었다. 한농연은 기자회견 개최 후 220만 농업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