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지난 10년간 농업진흥지역 12만 6천ha 감소

위성곤 의원 “잘못된 농업정책이 농업진흥지역 해제 주범”

지난 10년간 농업진흥지역 12 6ha 감소

2007년 대비 11%줄어여의도 면적의 434배 감소, 농지전용면적도 매년 증가

위성곤 의원 “잘못된 농업정책이 농업진흥지역 해제 주범

 

 

농업의 진흥과 육성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지정하여 관리되어 온 농업진흥지역이 지난 10년간 12 6 ha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서귀포시/사진)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농업진흥지역변화 현황자료에 따르며 지난 10년간 농업진흥지역이 11%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정부 말인 2007 111 98ha였던 농업진흥지역이 2016 99 37 ha 126 ha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이는 여의도 면적(290ha) 434배에 이른다

연도별로 보면, 2015 1,036,100ha였던 농업진흥지역이 2016년 말 993,700ha로 감소하여 변화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진흥지역은 국가예산등을 지원하여 농지조성사업 및 농업기반정비사업등이 시행된 농지를 대상으로 농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보전하기 위하여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농지이다

지역별로는 동기간(2007~2016부산 75%,울산 46%, 대구 31%, 경기 22%, 전남 14%, 경북11.6% 충남 11%,충북 10%,전북 10%,경남 10%,인천 3.6%, 강원 1.3%가 각각 줄어들었다제주의 경우 2008년 농업진흥지역이 모두 해제.변경되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6년 쌀수급안정대책을 이유로 농업진흥지역 해제를 추진한바 있고실제로2016년 농업진흥지역이 큰폭으로 해제.변경되었다농업을 육성하고 생산을 촉진해야 할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업의 필수생산요소인 농지면적을 줄이겠다는 방침을 발표하고 이를 추진한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현행 농지법과 농지법시행령에 따르면 1ha이상 면적의 농업진흥지역을 해제.변경하기 위해서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승인이 필요하다.

 

농지가 타용도로 전용되는 농지전용의 경우2013 (10,960ha), 2014 (10,718ha), 2015(12,303ha), 2016(14,145ha)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지역별 농지전용 면적을 보면 경기도(3042ha)로 가장 많았으며경남(2401ha), 경북(1654ha),충북(1620ha), 전남(1260ha)이 각각 농지전용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곤 의원은 "국가적인 필요에 의해 불가피하게 농업진흥지역을 해제하거나 변경할수도 있으나,쌀생산량조정등을 이유로 농업진흥지역을 해제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진흥지역해제를 추진하기 이전에 잘못된 농업정책을 바로잡아 농지 본연의 용도로서 소득이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게 우선"이라고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