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GS&J...쌀가격동향 분석자료 발표

올 수확기 가격, 시장격리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관건

GS&J...쌀가격동향 분석자료 발표

올 수확기 가격, 시장격리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관건 

    

GS&J가 최근 발표한 쌀가격동향 분석자료에 따르면  105일 신곡 산지가격은 80kg15892원으로 10일 전 구곡 가격 대비 13.2%(17,544) 상승하였다는 것.

10일 전 구곡 가격 대비 105일 신곡 가격 상승률은 20129.2%, 20134.8%, 20147.0%, 2015 2.6%였고, 2016년에는 0.5%에 불과하였으나 올해는 13.2%1990년대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였다

                            

105일 신곡 산지가격 15892원은 작년 같은 일자 2016년산 가격 134,076원보다는 12.5%(16,816)나 상승한 것.

그러나 이 같이 상승률이 높은 것은 작년에 전년 같은 일자 2015년산 가격 163,396원 대비 17.9%(29,320) 폭락했던 데서 반등한 때문으로 2015년산 동일 가격보다는 7.7%(12,504) 낮은 수준이다.

 

정부는 올 수확기에 공공비축미 35만 톤, 추가 시장격리 물량 37만 톤 등 총 72만 톤을 매입하기로 하였다올해 신곡 시장공급량이 작년보다 23만 톤(식용소비량의 8%) 적을 것으로 예상되고, 작년에 많았던 구곡 이입량도 올해는 없는 상황이므로 2017년산 가격은 앞으로도 작년 동기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 같은 전망은 정부가 수확기에 매입하는 72만 톤은 물론 밥쌀용 수입미도 단경기에 시장에 방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장이 신뢰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따라서 시장격리곡의 처분 및 밥쌀용 수입미의 처리 계획을 되도록 명확하게 밝히고 시장격리곡의 매입을 되도록 조기에 이행하여 시장격리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