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인기 '상종가'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 12개 참여 농가에 786명 펀딩 투자금 4,483만원 모집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 인기 '상종가'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 12개 참여 농가에 786명 펀딩 투자금 4,483만원 모집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원장 이대엽)NH투자증권과 공동으로 전문 크라우드 펀딩 중개업체 와디즈()와 손잡고 지난달 8일부터 910일까지 진행한 건강한 먹거리’2차 크라우드 펀딩이 성황리에 종료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2차 펀딩은 소비자가 농업인이 직접 만든 우리농산물로 올 추석명절선물을 준비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으며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가 엄선한 12개 농가의 우수제품을 선보였다.

올해 41차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했던 12개 농가는 투자목표금액 1,750만원의 163%에 달하는 2,852만원을 투자받았고 이번 2차 펀딩에 서도 12개의 농가가 전원 100% 완판 하여 786명의 투자자로부터 총 4,477만원의 투자금을 모아 1, 2차 펀딩을 합쳐 현재까지 총 1,369명의 투자자로부터 7,329만원 투자금이 조성되었다.

 

청년 여성농부 강보람씨의 보람찬고구마의 경우 당초 목표금액을 훌쩍 뛰어넘는 729%(729만원)를 달성하였고 지리산피아골식품 영농조합(고로쇠된장·고추장, 대표 김미선) 646%, 농업법인 완주베리(블랙베리농축액, 대표 원보연) 524%, 해가연 농업법인(생들기름, 대표 이인선) 422%, 도움농장(발효노루궁뎅이버섯, 대표 이현선) 420%, 백산인삼 영농조합(홍삼액·수삼, 대표 김태엽) 405%를 달성하며 뒤를 이었다.

 

이대엽 농협미래농업지원센터 원장은 농부와 농산물의 진솔하고 소소한 이야기를 엿볼 수 있는 농식품 크라우드 펀딩이 소비자와 생산자를 잇는 새로운 유통채널로 자리매김 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