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닭진드기 '살충제' 지난 10년간 508톤 뿌려져

더불어민주당 김현권의원 “닭진드기로 인한 고통 심각한데 방제대책 외면한 정부가 살충제 불법 살포 키운 것”

닭진드기 '살충제' 지난 10년간 508톤 뿌려져

더불어민주당 김현권의원 닭진드기로 인한 고통 심각한데 방제대책 외면한 정부가 살충제 불법 살포 키운 것

 

이번 살충제 계란 파동의 원인이 된 닭진드기 박멸에 쓰인 살충제가 지난 10년간 508,164kg, 22,441L가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비례대표)이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닭진드기 살충제로 제조 허가, 수입된 제품은 모두 14개 품목이었으며, 판매실적이 없는 3개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제품의 10년간 판매량은 총 508,164kg, 22,441L이었다.

 

이들 제품의 판매금액은 약 788억원에 이르렀다. 14개 제품 중 지자체가 구매하여 보급한 퓨오바이더스의 와구프리를 비롯한 3개 제품은 전체 판매액의 70%에 이르는 550억원에 달했다.

 

김현권 의원은 전 세계적으로 닭진드기 감염률이 90%에 육박한 상황에서 살충제 사용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닭진드기로 인한 고통 심각한데 방제대책 외면한 정부가 살충제 불법 살포 키웠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설명하며, “살충제로 범벅이 된 닭과 살충제에 노출된 농가들의 현실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이번 사태를 농가와 축산업계, 정부가 축산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함과 동시에 축산의 대전환을 시작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닭진드기는 해충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국민영양과 안전에 직결된 문제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따라서 살충제에 국한된 방제대책에서 벗어나 보다 친환경적인 물리생물학적 방법을 활용한 종합적 방제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내성이 강해진 닭진드기를 박멸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넉다운’(파리, 모기 구제재) 제품은 지난 10년간 645,677L가 판매되었으며, 금액은 531,025만원에 달했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창립 21주년 맞아 급식나눔 봉사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 이하 농금원)은 창립 21주년을 맞아 2025년 5월 20일(월),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광야홈리스센터’에서 급식나눔 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번 봉사활동은 영등포자원봉사센터와 협업을 통해 마련하였으며, 지역 어르신과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게 따뜻한 한끼를 제공함으로써 더불어 살아가는 나눔의 가치를 실천코자 하였다. 이번 봉사활동에는 농금원 노사 대표를 비롯하여 임직원 14명이 참여하였으며, 노사가 한마음으로 협력하여 급식나눔 봉사를 진행하였다. 봉사활동 참여자들은 식사 준비 및 배식에 직접 나서며 지역 어르신과 소통의 시간을 갖기도 하였다. 한편 농금원은 신선한 국내 농산물을 직접 구매하여 식자재로 활용함으로써, 물가 상승으로 위축된 농산물 소비에 활력을 불어넣고, 농업·농촌의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회로 삼았다. 농금원 서영규 노동조합 위원장은 “노사가 함께 참여한 이번 활동은 조직 내부의 공동체 의식을 다지는 동시에, 외부와의 연대를 강화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해동 농금원장은 “따뜻한 한끼를 직접 나누어 드리며 이웃들과 소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