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약독성평가, 실험동물 희생 줄이는 방법 도입

농촌진흥청, 동물대체시험법으로 농약독성평가… 비용 절약과 빠른 검사 기대

농약독성평가, 실험동물 희생 줄이는 방법 도입

농촌진흥청, 동물대체시험법으로 농약독성평가비용 절약과 빠른 검사 기대

 

국내외로 생명윤리 강화와 동물시험 규제 등으로 인해 동물대체시험법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이고 농약 독성시험기준의 국제적 협의에 발맞춰 동물대체시험법을 이용한 농약독성평가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2년에 도입한 농약의 급성경구독성과 피부감작성 대체법은 안전성 확보와 더불어 동물보호 및 경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

 

급성경구독성시험법은 기존 시험법보다 실험에 사용되는 마우스 100 마리를 랫드 6마리로 대체 가능해 희생되는 동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피부감작성시험은 기존 시험법에서는 실험동물인 기니피그 최소 30마리가 필요했는데 마우스 12마리로, 시험기간을 1개월 이상에서 8일로 줄일 수 있어 동물보호 뿐만 아니라 시험비용과 기간을 줄일 수 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우리나라에 등록 신청된 신규 농약품목의 급성경구독성시험 현황을 보면 기존 시험법 사용은 대폭 줄고 (90.9% 6.6%) 실험동물 수를 줄인 대체시험법 사용은 10배 이상 늘었다(9.1% 93.4%).

마찬가지로 피부감작성 시험도 기니피그를 이용하는 기존 시험법 사용은 줄고 있고(100% 51.6%) 이에 대한 대체시험법 사용은 늘고 있다(0% 48.4%).

 

동물대체시험법을 도입하면서 약 37천 마리의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이고 약 47천만 원의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기존의 시험법과 비교했을 때, 급성경구독성은 85%, 피부감작성 대체법은 89%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농촌진흥청은 동물대체시험법을 확대하기 위해 토끼를 이용한 자극성 시험법 대신 인공피부 또는 각막 모델을 이용한 시험법이 농약독성평가에 적합한지 검토하고 있다.

 

인공피부모델 또는 각막모델을 이용한 시험법은 자극성을 분류하는데 탁월하고 시험기간도 줄여 효율적인 농약독성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 농자재평가과 조유미 농업연구사는 연간 평균 100건 이상의 신규 농약(품목) 등록 신청이 들어오는데 기존 자극성시험을 인공피부모델 또는 인공각막모델로 대체하면 수백 마리의 토끼 등 실험동물을 희생하지 않을 수 있다.”라며, “시험 기간을 23주에서 4일로 줄여 여러 물질들을 빠르게 검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촌공사 김인중 사장, 건설현장 점검과 안전 토론... "사람 중심의 안전" 강조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21일 전남 강진 월남지구 다목적 농촌용수 개발사업 현장을 찾아 직접 안전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근로자와 안전토론을 진행했다. 공사는 지난 18일부터 정부의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 확산을 위해 전국 700여 개 건설 현장에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김인중 사장의 이번 방문은 안전경영에 대한 의지를 확산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를 위해 마련됐다. 김인중 사장은 현장에서 안전난간·작업발판 설치 상태와 폭염 대응체계 등을 직접 점검하며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는지 확인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공사 6개 사업 현장의 건설사 현장대리인, 안전관리자, 현장 근로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안전관리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김인중 사장은 정부 안전 정책 방향과 공사의 안전관리 중점 추진사항을 직접 설명했다. 이어 ‘안전한 일터 조성’을 주제로 ▲소규모 현장에 대한 실질적인 안전관리 방안 ▲스마트 안전장비 활용방안 ▲무사고 달성 현장 포상제도 ▲형식적 위험성 평가 방지 방안 등에 대해 이야기가 오갔다. 김인중 사장은 토론에서 건설현장 안전관리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영농창업특성화대학 팜 페스티벌’ 개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은 8월 19일(화)~21일(목)까지 전북 무주에 위치한 나봄리조트에서 영농창업특성화대학 ‘팜 페스티벌(Farm-Festval)’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영특대학은 기존 농대에 현장실습이 강화된 ‘영농창업특성화과정’을 운영하여 전문기술과 경영능력을 갖춘 청년농업인을 육성하고자 하는 과정이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팜 페스티벌’은 영특대학 재학생 간 관계망을 구성하여 예비 청년농업인에 대한 가치와 비전을 공유하고자 마련된 행사로, 재학생과 사업담당자 등 약 250여 명이 참석하여, 조 구성, 조별 RPG 게임, 농산물 식품가공대회, 장기자랑, 특별강연, 팜업 스토어 운영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특히, 학교별 재학생 대표들로 구성된 기획단을 구성하여 표어 제작 등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고, 주도하여 자발적인 참여 및 호응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번 표어인 ‘Farm UP! 함께 심고, 함께 수확하다’은 ‘농업을 업그레이드하고, 아이디어를 함께 심고, 그 결실을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조별로 7개 학교 재학생이 골고루 구성하여 조별 활동 강화를 통해 유기적인 공동체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농림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