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서울우유 ‘칼슘쏙쏙 블랙슬라이스 치즈’ 선보여

이규정 치즈마케팅 팀장 “기존 치즈와 차별화된 블랙 컬러 치즈로 색다른 맛과 풍미”

서울우유 칼슘쏙쏙 블랙슬라이스 치즈선보여

이규정 치즈마케팅 팀장 기존 치즈와 차별화된 블랙 컬러 치즈로 색다른 맛과 풍미

오징어먹물, 검은콩, 흑미, 검은깨 등 몸에 좋은 블랙푸드, 우유칼슘, 비타민D3 첨가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송용헌)이 블랙푸드를 첨가한 신개념 슬라이스 치즈 칼슘쏙쏙 블랙슬라이스 치즈를 출시했다.

칼슘쏙쏙 블랙슬라이스 치즈오징어먹물 검은콩 흑미 검은깨 등 풍부한 영양으로 건강식으로 주목 받고 있는 블랙푸드를 첨가한 프리미엄 슬라이스 치즈로, 오징어먹물의 감칠맛과 검정곡물의 고소한 맛이 치즈와 어우러져 더욱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신제품에 첨가된 블랙푸드는 검은색을 띄는 안토시아닌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항산화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에 우유칼슘과 비타민D3 등 각종 영양 성분이 첨가돼 뼈 건강을 챙기는 성인 및 성장기 어린이들이 폭넓게 즐기기 좋다.

 

또한 이번 신제품은 기존 치즈들과 색다른 검은 빛깔의 치즈로 색다른 풍미를 즐길 수 있으며, 하루 1개씩 일주일간 규칙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7매입 용량으로 소포장되어 고객들이 더욱 간편하게 치즈를 섭취할 수 있다.

 

서울우유 치즈마케팅팀 이규정 팀장은 이번 신제품은 블랙푸드, 우유칼슘, 비타민D3 등 각종 영양이 듬뿍 들어가 건강 간식으로 손색 없는 제품이다라며 이번 신제품과 함께 바쁜 일상 생활 속에서 치즈 한 장으로 간편하게 건강을 챙길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축산식품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