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촌진흥청과 농협 한우개량사업소, 한우 보증씨수소 16마리 선발

8월부터 정액 공급… 한우 길라잡이 책자와 누리집서 정보 제공

농촌진흥청, 한우 보증씨수소 16마리 선발

8월부터 정액 공급한우 길라잡이 책자와 누리집서 정보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과 농협 한우개량사업소(소장 김창엽)지난 629일 가축개량협의회 한우분과위원회(위원장 김종복 강원대학교 교수) 열고 하반기에 정액을 공급할 한우 보증씨수소 16마리를 선발했다.

한우 보증씨수소 선발과 정액 공급은 농림축산식품부 한우개량사업의 하나다. 농협 한우개량사업소가 당대검정과 후대검정을, 국립축산과학원이 유전평가를 실시한 뒤, 가축개량협의회에서 최종적으로 보증씨수소를 선발한다.

이번에 선발한 한우 보증씨수소는 KPN1052, KPN1053, KPN1055, KPN1059, KPN1060, KPN1061, KPN1062, KPN1064, KPN1069, KPN1071, KPN1075, KPN1076, KPN1078, KPN1080, KPN1081, KPN1085 16마리다. 보증씨수소는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의 유전능력을 1 : -1 : 6의 비율로 고려해 선발했다. 선발한 보증씨수소 중 도체중 유전능력이 가장 우수한 씨수소는 KPN1069, 이 씨수소의 자손은 도체중이 한우 전체 평균보다 약 23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등심단면적 유전능력이 가장 우수한 씨수소는 KPN1061로 유전능력(EPD)은 약 +5.7로 나타났다. 등지방두께는 KPN1053유전능력(EPD) 2.5로 가장 우수했고, 근내지방도는 KPN1064가 유전능력(EPD) +1.7점으로 가장 우수했다. 보증씨수소는 농림축산식품부의 한우개량사업의 하나로 운영되는 한우육종농가에서 13마리를 선발했다. 지역별로는 경기 6, 강원 3(강원 축산기술연구소 1마리 포함), 충북 2, 전남 1, 경남 1마리로 한우 씨수소 생산을 위해 시작한 한우 육종농가 사업이 성공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진흥청 김시동 가축개량평가과장은 암소 교배를 위한 정액 선택을 할 때 농가의 수익을 최대화 하고 암소의 부족한 유전능력을 채워주는 것 등을 생각해야 한다라며, “정액 선택 시 교배계획 길라잡이나 한우리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씨수소 정액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책자와 엑셀프로그램(nias.go.kr연구활용농가활용프로그램), 한우리 시스템을 발간, 운영하고 있다.

 

새롭게 뽑힌 씨수소 자료는 8월부터 제공한다. 농협 한우개량사업소는 8월부터 이번에 선발한 보증씨수소의 정액을 보급할 계획이다. 김창엽 소장은 유전능력이 우수한 한우 보증씨수소를 농가 개량목표에 맞게 이용해 농가 수익이 향상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축산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돈협회, 청년한돈인 선진지 견학’ 성황리 개최
대한한돈협회 청년분과위원회(위원장 도영철)는 지난 2025년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2박 3일간 제주도 일원에서 ‘2025 청년한돈인 선진지 견학’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견학에는 전국 각지에서 활동 중인 청년 한돈인 40여 명이 참가하여, 수출 중심의 가공·유통 시스템부터 환경·냄새관리에 이르기까지 선진 양돈기술을 폭넓게 체험하고 상호 의견을 교류하는 뜻깊은 자리를 가졌다. 이번 견학은 차세대 한돈산업을 이끌어갈 청년 농업인들의 전문역량 강화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내 한돈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축산시설에 대한 냄새 민원과 환경규제 대응이 현안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번 견학 과정에서 다뤄진 ‘구제역 청정지역 인증 유지 전략’과 ‘악취 저감 관리 방안’은 청년 농가들이 당면한 현실적 과제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주제였다. 견학 첫날, 견학단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생명연구원을 방문하여 김대철 원장으로부터 ▲제주흑돼지의 보존·관리 현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듣고, 연구시설을 직접 견학하며 제주 고유의 흑돼지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둘째 날에는 제주양돈농협 회의실에서 ▲제주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돈협회, 청년한돈인 선진지 견학’ 성황리 개최
대한한돈협회 청년분과위원회(위원장 도영철)는 지난 2025년 9월 22일부터 24일까지 2박 3일간 제주도 일원에서 ‘2025 청년한돈인 선진지 견학’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견학에는 전국 각지에서 활동 중인 청년 한돈인 40여 명이 참가하여, 수출 중심의 가공·유통 시스템부터 환경·냄새관리에 이르기까지 선진 양돈기술을 폭넓게 체험하고 상호 의견을 교류하는 뜻깊은 자리를 가졌다. 이번 견학은 차세대 한돈산업을 이끌어갈 청년 농업인들의 전문역량 강화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내 한돈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축산시설에 대한 냄새 민원과 환경규제 대응이 현안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번 견학 과정에서 다뤄진 ‘구제역 청정지역 인증 유지 전략’과 ‘악취 저감 관리 방안’은 청년 농가들이 당면한 현실적 과제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주제였다. 견학 첫날, 견학단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생명연구원을 방문하여 김대철 원장으로부터 ▲제주흑돼지의 보존·관리 현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듣고, 연구시설을 직접 견학하며 제주 고유의 흑돼지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둘째 날에는 제주양돈농협 회의실에서 ▲제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