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2025년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R&D) 우수성과’ 선정 결과, 전체 36건 중 10건이 선정돼 가장 많은 성과를 배출한 기관으로 이름을 올려, 화제가 되고 있다.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 우수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사회 전반의 현안 해결을 위해 추진 중인 연구개발 성과 중 현장 적용 가능성과 기술의 혁신성, 도전성 등을 종합 평가해 선정한다.
올해는 24개 중앙행정기관 및 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총 224건의 성과를 접수했으며, 1·2차 평가를 거쳐 최종 36건이 선정됐다.
농촌진흥청 우수성과 10건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사회문제 10대 분야 중 건강, 환경, 재난 재해 등 6개 분야에 고루 분포돼 있다.
특히 건강·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만성질환과 퇴행성 뇌 질환 예방, 수질오염 및 산업폐기물 저감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성과를 인정받았다.
건강 분야 우수성과 3건은 ‘아시아 최고 수준 국가표준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국산 잡곡 기반 항당뇨·항고혈압 혼합비율 개발’, ‘알츠하이머 예방을 위한 유산균 및 발효유제품 개발’이다.
환경 분야 우수성과로는 ‘국내 최초 고정밀 위성 위치정보(RTK-GNSS)를 활용한 비료절감 기술개발’, ‘열화학 공정 기반 가축분 처리·에너지 생산 통합 적용 기술’, ‘한국형 순환식 스마트팜 기술개발과 현장 보급’ 3건이 선정됐다.
생활안전 분야에서는 ‘벼멸구 정밀 통합방제 기술’, 재난 재해 분야에서는 ‘깊이거름주기(심층시비) 기술개발 및 보급’이 각각 뽑혔다.
또한, 에너지 분야에서는 ‘한파에 농업을 지키는 에어로겔 다겹 보온커튼 개발’, 사회통합 분야에서는 ‘현장 수요 맞춤 박과채소 마커세트 개발’이 우수성과로 선정됐다.
농촌진흥청 김병석 연구정책국장은 “이번 성과는 농업·농촌 현장 문제해결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한 연구개발의 결실이다.”라며 “앞으로도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문제를 적극 해결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을 선도하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