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국내 주요 공기업 중 '코레일' 관심도 톱 '한국관광공사' 호감도 1위

15개 공기업·공공기관 대상 SNS 등 12개 채널 22만 사이트 최근 3개월 빅데이터 분석
한국시설안전공단 정보량 최저…올 여름 홍수피해로 한국수자원공사 순호감도 최하위

최근 3개월간 15개 공기업·공공기관 중 국민들의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곳은 '한국철도공사' 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의 호감도는 '한국관광공사'가 가장 높았다.

 

14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소장 김다솜)는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2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7월13일부터 10월12일까지 3개월간 주요 공기업·공공기관 중 임의의 15곳을 선정,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 공기업과 공공기관은 정보량순으로 ▲한국철도공사(사장 손병석) ▲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변창흠) ▲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 ▲한국도로공사(사장 김진숙)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한국자산관리공사(사장 문성유) ▲한국가스공사(사장 채희봉)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식)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이병호)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김상균)  한국무역보험공사(사장 이인호) ▲한국지역난방공사(사장 황창화) ▲한국시설안전공단(대표 박영수)등이다.

 

조사 결과 '한국철도공사'의 온라인 포스팅 수가 총 7만 5152건으로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한국감정원'으로 7만 4886건으로 1위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어 '한국토지주택공사' 6만 4174건, '한국관광공사' 5만9258건, '한국도로공사' 5만304건, '한국수자원공사' 4만8828건, '한국수력원자력' 3만9651건 등이었다.

 

또 '한국자산관리공사' 2만9850건, '한국가스공사' 2만4400건, '한국농어촌공사' 2만2302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만 512건, '한국철도시설공단' 9135건, '한국무역보험공사' 6281건, '한국지역난방공사' 6254건, '한국시설안전공단' 4075건 순이었다.

 

 

15개 공기업과 공공기관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감도를 조사해봤다.

 

조사 결과 관심도 4위였던 '한국관광공사'가 순호감도면에선 50.38%로 1위를 기록했다. 순호감도는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으로 중립률은 고려하지 않았다.

 

순호감도 2위는 '한국가스공사'로 41.36%를 기록했으며 이어 '한국지역난방공사' 34.84%,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32.97%, '한국철도시설공단' 32.72%, '한국무역보험공사' 29.31%, '한국토지주택공사' 28.77%, '한국시설안전공단' 27.39%, '한국농어촌공사' 26.63%, '한국철도공사' 16.26%, '한국수력원자력' 15.53%, '한국자산관리공사' 14.19%, '한국감정원' 14.17%, '한국도로공사' 10.70% 순이었다.

 

순호감도 최하위는 '한국수자원공사'로 5.74%를 보이는데 그쳤다.

 

이는 올 여름 홍수 피해로 부정글이 다수 게시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참고로 포스팅 글에 '예쁘다 좋다 만족한다 최고 웃다 잘한다' 등의 단어들이 있으면 긍정글로 분류되고 '나쁘다 화난다 불만족 울다 짜증 못한다' 등의 단어가 있으면 부정글로 분류되는데 그 단어가 해당 공기업·공공기관을 반드시 겨냥하거나 지칭한 것이라고는 할수 없으므로 '호감도'는 트렌드 참고자료로 감안하면 된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