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버섯재배키트’…도시민 미니텃밭세트 대거 선봬

건강한 먹거리 직접 키우는 재미, 아이들 체험학습용으로 주목
코로나 대란템 떠오른 ‘표고 버섯 키트’ 비롯해 허브, 캣그라스, 새싹 등 다양한 제품 선봬

스페셜티푸드 플랫폼 퍼밀(permeal)이 버섯재배키트를 비롯한 허브, 반려묘용 캣그라스, 새싹 등 식물 재배 상품을 4일부터 순차적으로 출시한다. 반려 식물 키우기 열풍과 언택트 시대에 떠오른 자급자족 트렌드에 발맞춰,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관련 상품을 대거 선보이게 된 것이다.

 

 

먼저,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노루궁뎅이버섯을 키울 수 있는 세트 상품으로 ‘무럭무럭 버섯키트’를 출시했다. 버섯이 자랄 수 있는 토대가 되어주는 배지(培地)에 버섯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하루 세 번 물을 주면 약 일주일 뒤 버섯을 만나볼 수 있다. 

 

버섯을 잘 먹지 않는 아이들이 있는 가정에서 키우면, 교육적 효과와 함께 편식하는 습관을 고치는데 도움을 준다. 두 가지 종류의 버섯 키트를 묶어 3종 키트로 선보이는데 ‘표고버섯+느타리버섯’은 1만2900원, ‘느타리버섯+노루궁뎅이버섯’은 1만3900원, ‘표고버섯+노루궁뎅이버섯’은 1만4900원이다.

 

늘어난 집밥 수요에 발맞춰 각종 허브를 키울 수 있는 ‘셰프의 가든 허브 텃밭’ 세트도 내놓았다. 특별 제작한 화분 겸 포대에 고수, 루꼴라, 바질, 세이지 씨앗 4종이 심어져 있는 제품이다. 

 

 

개인 SNS에 자라는 과정을 공유하게끔 화분 디자인에 신경을 쓴 것이 특징이며 가격은 1만5000원이다. 이 외에도 무순, 브로콜리, 다채, 유채 등 새싹을 비롯해 반찬으로 활용 가능한 강낭콩, 가지, 당금, 고추 상추 재배 키트, 레몬밤, 라벤더, 오레가노, 유칼립투스 등 다양한 허브 키트도 마련했다.

 

반려묘를 키우는 가정이 증가한 것에 주목해, 고양이 털인 헤어볼을 배출시키고 건강 간식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캣그라스’ 재배 키트도 출시했다. 보리싹, 밀싹, 귀리싹, 캣닢 중 선택할 수 있으며 각 5,400원에 판매한다.

 

이들 제품은 건강한 먹거리를 직접 키우는 재미를 줌과 동시에 아이들이 있는 집에서 체험 학습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주어 소비자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표고버섯 키트의 경우 SNS 등에서 최근 무료한 집 생활에 활력을 더해줄 코로나 대란템으로 불리며 화제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무럭무럭 버섯 재배 키트’는 4일부터 구입이 가능하며, 허브류를 비롯한 기타 제품들은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퍼밀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퍼밀을 운영중인 ㈜식탁이있는삶 정민수 담당 MD는 “무료한 일상 생활에 활력을 심어주면서 건강한 먹거리까지 직접 재배할 수 있는 재배 키트를 엄선해 선보이게 됐다”라며 “이들 제품을 통해 집콕 시대를 슬기롭게 이겨내실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