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임업진흥원, 제2회 산림과학기술R&D 국민 참여 아이디어 공모

구길본 원장 “현장에 필요한 R&D 수요발굴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기대”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구길본)은 산림‧임업분야의 현장 문제해결을 위해 6월 22일(월)까지 두 달간 제2회 산림과학기술 R&D 국민 참여 아이디어 공모전(산림청 주최·한국임업진흥원 주관)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국민 참여 공모전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되는 것으로 산림‧임업 분야에 관심있는 국민이라면 나이, 학력, 기술 분야에 관계없이 누구나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참가 희망자는 산림과학기술정보서비스에서 공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안 아이디어는 담당자 이메일(ftisrnd@kofpi.or.kr) 또는 우편(서울시 강서구 화곡로 66길 58, 3층)으로 접수가 가능하다.

 

제안된 아이디어는 전문가 심사를 거쳐 올해 9월에 대상(1명, 온누리상품권 100만원), 최우수상(2명, 온누리상품권 50만원) 등 총 16건을 선정하여 시상할 계획이다. 최종 선정된 아이디어는 산림분야 신규 R&D과제에 우선적으로 검토된다.

 

지난해 공모전 수상작 중 대상을 받은 “목탄을 이용한 전염병에 의한 매몰처분시 발생하는 침출수 정화”등 총 5건의 아이디어가 실제 2020년 R&D 신규과제로 반영되어 추진 중에 있다.

 

구길본 원장은 “이번 공모전은 산림‧임업 분야 현장에 꼭 필요한 R&D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산림분야의 혁신성장을 위한 활용도 높은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되길 기대한다”며, “진흥원은 투명하고 공정한 산림과학기술 R&D사업을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