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축산물 브랜드 경영체 협의회 재도약 결의

축산물 브랜드 경영체 협의회 2019년 정기총회 개최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이사 김태환)에서는 우수 축산물 경영체로 구성된 ‘축산물 브랜드 경영체 협의회(김영철 조합장) 정기총회’를 최근 대전 유성호텔에서 개최했다.

2005년 결성된 협의회는 축산물 브랜드 경영체 38개소(한우 25개, 한돈 13개)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브랜드 경진대회 수상, 명품 브랜드 인증 등 고품질 축산물 유통을 선도해 오고 있다.

 

김영철 협의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경기침체와 수입축산물 증가 등으로 여건이 많이 어렵지만 모두 합심하여 브랜드 중심의 고품질, 안전 축산물 유통으로 위기를 헤쳐 나가자고 말했으며,

이번 총회에서는 '18년도 사업결산과 '19년 사업계획을 의결하였고, 농림축산식품부(축산정책과)의 축산 정책 방향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며, 브랜드 축산물의 경쟁력 제고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지속되는 경기침체와 가성비 중심으로의 소비트렌드 변화에 대응하면서 축산물 브랜드가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한우, 한돈의 생산비와 유통비용 절감으로 소비자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더불어 유통비용이 최소화된 축산물 플라자 등 직거래 판매망 확충으로 소비자가 산지와 연동되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다고 했다.

 

이날 총회에서 축산유통부 김경수 부장은“축산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 해소와 적정 가격의 공급이 필요하며, 브랜드 경영체 주도의 안전한 고품질 축산물 공급확대에 다같이 노력하여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