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조합 상조사업 '일취월장'

SJ산림조합상조, 가입자 4만 돌파...서비스 개선으로 상조업계 인지도 확보

SJ산림조합상조(대표이사 김형진)가 2017년 3월 영업을 시작한 이후 상조업계의 전반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회원 불입금 100억 원 돌파에 이어 가입자 4만 돌파에 성공하였다.

가입자 4만 돌파는 산림조합이 대한민국 대표 협동조합으로 우리 숲과 산림을 푸르게 가꾸고 서민금융 기관으로 지역민과 애환을 나누고,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얻은 성과로 평가하고 있다.

산림조합 전 임직원들이 상조사업 활성화를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유관 기관들과의 전략적 MOU를 체결하는 등 다양한 가입 채널 확보에 노력해 온 결과로 산림조합이 전략적으로 추진한 상조사업이 안정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SJ산림조합상조는 웨딩 서비스 출시와 함께 상조업계 최초로 제1금융권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은행 상조 신탁상품을 출시하는 등 영업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이업종 채널과의 제휴를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최근 높아지고 있는 자연장과 수목장(림)에 대한 국민적 관심에 부응, 전국 광역권과 시군구별로 조성, 조성 예정인 수목장림과 연계한 자연친화적 장례문화 확산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2019년 1월까지 자본금 15억 원 상향에 대한 상조업계에 대한 가입자의 걱정과 불안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SJ산림조합상조는 지난 6월 공정거래위원회의 회계분석 결과 지급여력비율, 영업현금흐름비율, 자본금 15억 이상 등 3가지 지표에서 우수업체로 선정되었다.

 

SJ산림조합상조는 가입자 4만 돌파에 감사하는 의미로 SJ산림조합상조 홈페이지와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특별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협동조합 문진섭 조합장, "'저지밀크푸딩' 출시...프리미엄 디저트 시장 공략할 것"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국산 저지우유(Jersey Milk)를 활용한 프리미엄 디저트 신제품 ‘서울우유 저지밀크푸딩’을 출시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디저트 시장 규모는 지난 2014년 8000억 원에서 지난해 1조 5000억 원으로 10년 만에 약 8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부드러운 식감과 달콤한 맛이 특징인 푸딩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유통업계에서는 일본의 유명 푸딩을 독점 판매하거나 독자적으로 푸딩 제품을 개발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에 서울우유는 고품질 원유 경쟁력을 앞세워 높은 유지방 함량으로 부드럽고 크리미한 풍미가 일품인 ‘저지우유’를 활용한 프리미엄 디저트 ‘서울우유 저지밀크푸딩’을 새롭게 선보인다. 신제품은 서울우유 저지 전용 목장에서 생산한 국산 저지우유를 무려 83% 함유해 우유 본연의 진하고 부드러운 풍미가 특징이다. 일반 우유에 비해 단백질, 칼슘 등 영양소 함유량이 높아 로열 밀크(Royal Milk) 혹은 골든 밀크(Goldn Milk)라고도 불리는 ‘저지우유’는 영국 왕실 전용 우유를 만들기 위해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영국 해협의 저지섬에서 자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