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위성환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본부장 신년사..."신성한 푸른 용의 기운을 받아 축산현장에서 가축전염병 청정화를 위해 지혜롭게 헤쳐 나갈 것"

【신/년/사】위성환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본부장


사랑하는 축산 가족 여러분!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전했던 2023년 계묘년(癸卯年)이 지나가고 새로운 희망과 긍정이 가득한 2024년 갑진년(甲辰年) 새 아침이 밝았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 전쟁 등 불안한 국제정세와 경기 침체와 더불어, 지난해 5월 구제역 발생, 10월 국내 첫 럼피스킨이 발생하였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12월 3일 전남 고흥에서 처음 발견, 연이어 전국 가금농장에서 발생되고, 아프리카 돼지열병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많은 축산인들이 큰 어려움에 직면하는 등 2023년은 참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던 것 같습니다.

 

가축전염병 발생 시 전염병이 더 이상 발생·확산이 되지 않도록 농가에서는 긴장을 늦추지 말고 ‘나 하나쯤이야’가 아닌 ‘나 하나 때문에’라는 방역의식을 갖고 농장을 출입하는 사람·차량 등에 대한 철저한 통제와 소독 등 철저한 방역과 위생관리를 실천해 주시기를 당부드립니다.

 

2024년 갑진년(甲辰年) 은 ‘푸른 용의 해’입니다. 신성한 푸른 용의 기운을 받아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긴장을 늦추지 않고 축산현장에서 가축전염병  청정화를 위해 지혜롭게 헤쳐 나갈 것입니다. 

 

초동방역 업무를 철저히 추진해 나갈 것이며,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가축 방역과 축산물 위생 관리를 통하여 축산업 발전과 축산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국민과 직원의 건강한 삶을 위해 노력하며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축산물을 통해 사람과 가축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가축방역 전문기관으로 거듭나도록 하겠습니다.  


축산 가족 여러분께서도 철저한 방역의식을 가지고 가축 질병 청정화와 안전한 축산물 생산에 앞장서 주시기 바랍니다.

 

사랑하는 축산 가족 여러분!

 

빛나는 새해를 맞이하여 축산 가족 여러분의 바라는 모든 소망을 이루시고 건강과 행복이 충만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 <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본부장 위성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