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2017년 동물실험 실태 보고

검역본부, 총 384개 기관 28,506건 계획 심의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동물보호법 시행령 제12 6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5조에 따라 국내 동물실험시행기관의 2017년도 동물실험 및 실험동물 사용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국내에 동물실험윤리제도가 도입·시행(2008.1.27.)된 이후동물보호법 제45조에 근거하여 매년 조사·발표되는 것으로 주요 내용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이하 위원회)의 운영 및 동물실험 실태조사 내역과 동물실험시행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결과 등이며조사결과는 향후 동물보호·복지 종합대책 수립 시에 활용될 예정이다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설치기관은 ‘17년 기준 384개소이며그 중 353개소(91.9%)에서 총 2,905회의 회의를 개최해 28,506건의 동물실험계획서를 심의했다심의결과는 원안승인 2 1,976(77.1%), 수정후 승인 5,211(18.3%), 미승인 1,319(4.6%)이었다실험동물은 동물실험을 시행한 351개 기관에서  308 2,259마리(기관 당 8,781마리)로 전년대비 7.1% 증가했는데종별 실험동물 수는 설치류(마우스래트 등) 283 3,667마리(91.9%)로 가장 많고다음으로 어류 10 2,345마리(3.3%), 조류 7 2,184마리(2.3%), 토끼 3 6,200마리(1.2%), 기타 포유류 3 2,852마리(1.1%)순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동물실험은 동물이 느끼는 고통의 정도에 따라 가장 낮은 A등급부터 가장 심한 E등급까지 5단계로 나뉜다고통등급이 가장 높은 E그룹의 동물실험에 102 7,727마리(33.3%)가 사용되었고, D그룹 102 3,406마리(33.2%), C그룹 86 7,154마리(28.1%), B그룹 16 3,972마리(5.3%)순으로 사용되었다.

 

최근 5년간 추세 살펴보면 위원회 설치기관 수 및 운영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총 사용동물  및 기관 당 평균 사용동물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동물실험이 점차 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위원회 운영 현황 분석 결과기관 당 회의 개최횟수는 감소하는 반면에 개최횟수 당 심의건수는 증가하고 있어 1회 개최 시 다수의 계획서를 심의하는 기관이 늘어나고 있으나동물실험계획서 승인건수 내역의 분석 결과 동물실험계획의 승인절차 강화로 인해 원안승인 비율이 감소하고 미승인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검역본부 문운경 동물보호과장은 바이오 의약 분야의 성장과 함께 동물실험이 증가하고 있어 동물실험시행기관 및 동물실험 수행자들은 동물실험 결과의 대외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실험동물의 윤리적 취급 및 과학적 사용과 함께 실험동물의 보호와 복지 향상에 더욱 노력해주길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경농, '노균병, 걱정 뚝'…시금치계의 ‘강철템’!
여름철 농작물 재배를 어렵게 하는 것은 각종 병해다. 고온다습한 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병해는 작물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생산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내병성 품종을 고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경농의 종자 전문 브랜드 동오시드의 여름 전용 시금치 ‘다크그린’과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특히 강해 수확량은 물론 재배 편의성도 크게 향상시킨다. 다크그린은 더위에 매우 강해 동오시드가 더운 여름철에 특히 강력 추천하는 시금치다. 극만추대성으로 노균병에 매우 강하며 토양 적응성이 좋고 내습성이 뛰어나 위조병 내병성도 지녔다. 또한 수확기에도 작물이 망가지기 않고 밭에서 잘 버티는 재포성도 훌륭하다. 엽색은 매우 진하고, 모양이 우수하다. 엽면이 잘 서있어 작업하기에도 용이한 품종이다. 블랙다이아는 노균병에 매우 강한 품종이다. 잎의 색이 변하거나 시드는 등 노균병에 따른 피해 우려를 크게 줄인다. 또한 토양적응성이 좋고, 내습성도 훌륭해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도 재배안정성이 높다. 엽색이 매우 진하고 광택이 우수해 상품성이 뛰어나다. 내병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다수확 품종으로, 최고의 상품성을 보장한다. 동오시드 관계자는 “두 품종 모두 엽색 등 품질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