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마늘‧양파 한 번에 10톤 건조하는 장치 선보인다

- 농촌진흥청, 6일 현장 연시회…내년 현장에 시범 보급, 적용 작물 늘릴 것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많은 양의 마늘과 양파를 한 번에 예건(저장 전 말리기)할 수 있는 장치 현장 연시회를 6일 충남 서산에서 연다고 밝혔다.

마늘과 양파는 우리나라 국민 식생활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채소이다. 5~6월 수확해 저장하기 전 반드시 잘 말려야 하므로 비닐온실(비닐하우스)이나 창고, 수확이 끝난 논밭 등을 건조 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비닐온실 바닥에 깔거나 창고에 쌓아놓고 바람을 쐐 말리는 방법은 넓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양을 처리하기가 어렵다. 또한, 논이나 밭에 펼쳐 놓고 말리면 소나기, 장마 등 날씨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서산시농업기술센터는 많은 양의 마늘과 양파를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건조할 수 있는 ‘차압식 마늘‧양파 예건 장치’를 고안해 제작했고, 농촌진흥청은 사용자 안전을 고려해 장치의 성능을 개선했다.

농촌진흥청은 차압식 마늘‧양파 예건 장치를 영농현장에 안정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재배 농가에서 현장 실증시험을 진행했다.

차압식 마늘‧양파 예건 장치는 송풍기, 팰릿, 비닐, 차광막으로 구성돼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재배지나 온실 안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와 해체, 보관이 매우 간편하다.

 


우선 송풍기 뒤쪽 땅바닥에 비닐과 팰릿을 깔고 마늘이나 양파를 쌓은 다음 비닐과 차광막으로 옆과 위를 감싸 밀폐한 뒤 송풍기 반대쪽은 열어둬 공기가 통하게 한다.

송풍기가 작동하면서 뒤쪽에 쌓아놓은 마늘이나 양파에서 공기를 빨아내면 압력 차가 발생해 옆과 위를 덮은 비닐이 쌓아둔 마늘이나 양파에 밀착되고 송풍기 반대쪽 열어둔 곳을 통해 건조한 바람이 들어간다.

기존에는 마을, 양파를 겹겹이 쌓거나 건조 중간에 뒤집어야 하는 문제로 고르게 건조하지 못했지만, 이 장치를 이용하면 마늘 10톤(약 0.66헥타르 생산량), 양파 10톤(약 0.17헥타르 생산량)을 바닥면적 26㎡에서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건조 방법보다 품질이 좋아 마늘의 경우 지난해 기준 kg당 700원 더 높게 수매가가 책정됐다.

농촌진흥청은 6일 충남 서산에서 시군농업기술센터 관계자와 마늘‧양파 재배 농가를 초청해 현장 연시회를 연다.


내년부터는 영농현장에 장치를 시범 보급해 마늘, 양파 재배 농가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수확 후 저장 전 건조가 필요한 다른 작물을 대상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이다.

충남 서산에서 마늘 농사를 짓는 오흥술 농업인은 “논밭에서 마늘을 건조할 땐 날씨 걱정이 컸지만, 이제는 날씨 관계없이 안전하고 빠르게 많은 양을 건조할 수 있어 안심이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수확후관리공학과 손재용 과장은 “현장 맞춤형 농업기술에 중점을 두고 영농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농업인이 필요로 하는 기술 개발과 보급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정원, 농업·농촌 혁신의 장...‘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성황리에 마무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이 주관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려 총 10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제2회 인기 콘텐츠 어워즈’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모든 행사를 마무리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농촌 혁신으로 만드는 성장과 행복’을 주제로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활기찬 농촌 △색깔 있는 농업 등 4대 주제관과 야외마켓을 운영하였으며, 166개 농축산 단체·협회, 기업, 기관 등이 참여했다. 첨단 농업기술 전시와 농정 성과, 미래세대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펼쳐진 박람회장에는 라트비아 야니스 베르진스 대사 및 미국, 태국, 필리핀 대사관 농무관이 개막식에 참여 하며, 대한민국 농업에 대한 관심을 내비쳤다. 또한 프랑스, 일본, 베트남 등 약 100여 명의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된 ‘K-농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특별 운영하여, 다양한 농업·농촌 전시와 체험을 즐기며 K-농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고, 우리 농업 문화를 생생하게 접하였다. 이번 박람회는 ‘K-농업혁신관’을 특별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농업·농촌 혁신의 장...‘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성황리에 마무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이 주관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나흘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려 총 10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제2회 인기 콘텐츠 어워즈’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모든 행사를 마무리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농촌 혁신으로 만드는 성장과 행복’을 주제로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활기찬 농촌 △색깔 있는 농업 등 4대 주제관과 야외마켓을 운영하였으며, 166개 농축산 단체·협회, 기업, 기관 등이 참여했다. 첨단 농업기술 전시와 농정 성과, 미래세대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콘텐츠가 펼쳐진 박람회장에는 라트비아 야니스 베르진스 대사 및 미국, 태국, 필리핀 대사관 농무관이 개막식에 참여 하며, 대한민국 농업에 대한 관심을 내비쳤다. 또한 프랑스, 일본, 베트남 등 약 100여 명의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된 ‘K-농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특별 운영하여, 다양한 농업·농촌 전시와 체험을 즐기며 K-농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고, 우리 농업 문화를 생생하게 접하였다. 이번 박람회는 ‘K-농업혁신관’을 특별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