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가락시장 '채소경매장' 6일~7일 휴장... 출하계획 세워야

채소류 8월 5일 저녁까지 경매...8일 저녁부터 다시 개장
과일류 8월 6일 아침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9일 새벽 경매 재개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가락시장과 강서시장, 양곡시장 하계휴장일 발표...출하유의

서울특별시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이하 가락시장) 등이 하계 휴업에 들어간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김경호)에 따르면 가락시장 청과부류 중 채소부류는 8월 5일(목) 저녁까지 경매가 열리고 8일(일) 저녁부터 다시 개장할 예정이며, 과일부류는 8월 6일(금) 아침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9일(월) 새벽 경매가 재개된다.

 


가락시장 수산부류 중 선어류와 패류부류는 8월 6일(금) 아침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8일(일) 저녁 경매부터 다시 시작될 예정이며, 건어부류는 7월 27일(화) 아침까지 경매가 열리고 8월 2일(월) 새벽 경매부터 재개된다.

아울러 강서농산물도매시장(이하 강서시장) 경매제의(채소부류, 과일부류) 채소부류는 7월 29일(목) 저녁 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8월 1일(일) 저녁 경매부터 다시 시작될 예정이며, 과일부류는 7월 30일(금) 아침경매를 끝으로 휴장했다가 8월 2일(월) 새벽 경매부터 재개된다.

 


시장도매인제의 경우 7월 30일(금) 18시까지 거래가 이뤄지고 8월 1일(일) 18시부터 거래를 재개한다.
양곡도매시장은 7월 30일(금) 18시까지 거래가 이뤄지고 8월 2일(월) 07시부터 거래를 재개한다.

공사 이니세 유통본부장은 “하계 휴업일 전후 원활한 농수산물 공급을 위해 도매시장법인 및 중도매인 등과 공조를 강화하고,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돈자조금, ‘홍성글로벌 바비큐페스티벌’ 참가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손세희)는 지난 10월 30일부터 오는 11월 2일까지 충남 홍성군 홍주읍성 일대에서 열리는 ‘2025 홍성글로벌바비큐페스티벌’에 참가하고 있다. ‘2025 홍성글로벌바비큐페스티벌’은 한돈 등 지역 축산물과 글로벌 바비큐 문화를 융합해 미식·문화 체험을 제공하고 지역 관광과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글로벌 축제로 다양한 연령대가 즐길 수 있다. 이번 행사에서 한돈자조금은 소비자 부담을 덜어주고자 현장에서 특별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삼겹살, 목살, 앞다리살, 뒷다리살 등 인기 부위를 소비자 가격 대비 최대 40% 할인된 가격으로 행사 기간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판매한다. 할인행사에는 ▲천수푸드 ▲돈우 ▲새싹푸드 ▲고가네 ▲대전충남 ▲도드람 등 6개의 한돈 브랜드사가 참여해, 소비자들이 신선한 한돈을 접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한돈 제품으로 엄선했다. 특히, 한돈자조금은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한돈의 영양학적 우수성과 가치를 알리는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다. 홍보부스에서는 한돈자조금 및 한돈 소개, 한돈의 우수성, 한돈 인증점 및 한돈몰 안내 등 한돈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방문객들이 직접 참여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