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촌진흥청, 신품종 확대 보급으로 농가소득 증대 꾀한다

- '식량작물' 신품종 보급 확대

- 벼·밭작물 11품목 지역 특화품종으로 육성 지원 나서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2020년 생산한 식량작물 11품목 149품종 3만 5,218kg을 전국 134개 지역 지방농촌진흥기관을 통해 신속하게 보급했다고 밝혔다.

 

올해 보급된 종자량은 △벼 76품종 2만 3,805kg △밭작물 10품목 73품종 11,413kg이다. 재배 면적으로 환산하면 벼는 476헥타르(ha), 밭작물은 164헥타르(ha) 재배가 가능한 양이다.

이 중 최근 5년 이내 육성한 품종이 차지하는 면적은 433.5ha로, 전체 재배면적 640헥타르(ha)의 67.7%(쌀 65%, 밭작물 75.7%) 수준이다.

 

국립식량과학원은 매년 우수한 식량작물을 빠르게 확산하기 위해 보급종 공급체계에 포함되지 않은 신품종을 지방농촌진흥기관을 통해 농업인에게 보급하고 있다.

특히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외래 품종이나 오래된 지역 품종 대체 및 지역 특화 품종 육성에 중점을 두고 집중 지원했다.

 

벼 외래 품종을 대체할 목적으로 충북 진천·청주에는 ‘추청’ 대체 품종인 ‘알찬미’, 경북 상주에는 오래된 지역 품종 대체를 위해 밥맛 좋은 복합내병성 품종인 ‘미소진미’, 전북 익산에는 내병성이 증진된 ‘신동진’ 대체 품종인 ‘참동진’을 각각 보급했다.

 

이 품종들은 모두 2018∼2020년 육성한 신품종으로,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별 최대 1,000kg까지 보급됐다. 이렇게 보급된 품종들은 지방농촌진흥기관·지역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농업인 등 지역 재배 주체들과 소비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해 품종 대체 및 지역 특화 품종화를 진행하게 된다.

 

밭작물의 경우 품목은 다양하지만 소면적 재배 작물이기 때문에 보급 경로가 많지 않아 국립식량과학원을 통한 조기 보급이 큰 의미가 있다.

 

 

올해는 지역 특화 소득 작목 재배를 위해 2019년 육성된 콩 ‘미풍’과 ‘선유2호’, 2018년 육성된 땅콩 ‘해올’, 2017년 육성된 풋땅콩 ‘세원’ 등을 다양한 지역으로 보급했다.

또한,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외래 품종 고구마를 대체하기 위해 고구마 7품종(‘진율미’, ‘호감미’, ‘풍원미’ 등) 3,000kg을 보급했다.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권도하 과장은 “식량작물 정기 분양은 신품종 특화 품종화를 원하는 지역 요구에 부응하고, 최소 4년 이상 시간이 걸리는 보급종 공급 체계 소요 시간을 앞당겨 신품종이 나온 다음 연도에 조기 보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라며, “앞으로도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국내 육성 우수 신품종의 조기 확산에 앞장서 농가 소득 향상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