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 ‘농업박물관’ 꾸준한 인기

김재균 박물관장 “1987년 개관해 그동안 누적 관람객 500만명 돌파”

농협 농업박물관꾸준한 인기

김재균 박물관장 “1987년 개관해 그동안 누적 관람객 500만명 돌파

 

농협중앙회(회장 김병원농업박물관이 10 25일 누적 관람객 500만 명을 돌파했다.

1987년 개관하여 올해로 개관 30주년을 맞는 농업박물관은 10 25 오전 10시경 500만 번째 관람객을 맞이하였다

이 날 500만 번째로 입장한 관람객은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김영순씨로아이들과 함께 농업박물관을 찾았다가 행운의 500만 번째 주인공이 되었다.

 

김영순씨는 평소 서대문 인근에 나올 때면 농업박물관을 종종 찾았다 “오늘 오랜만에 아이들과 박물관에 들렀는데 이런 행운을 얻게 되어 너무 기쁘고앞으로도 30그 이상 더욱 발전하는 농업박물관이 되길 바란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농업박물관은 500만 번째 관람객의 행운을 잡은 김영순씨에게 축하 꽃다발과 함께 농촌사랑 농산물상품권을 선물로 증정했다.

 

김재균 발굼관장은 농협 농업박물관은 지난 30년간 우리 전통농경문화의 가치를 알리는 전시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농업농촌문화를 지키고 널리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