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공판장, 최근 5년간 수입농산물 1조 1,918억원 유통

수입농산물 점유율 2013 5.6% → 2016년 7.3% 증가

농협공판장 수입농산물 홍보장?

박완주 의원, “국내농산물의 판매 활성화 도모해야 할 것

최근 5년간 농협공판장을 통해 유통된 수입농산물은 11,918억 원에 달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더불어민주당천안을)의원이 농협으로부터 제출받은최근 5년간 농협공판장 수입농산물 취급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3-2017.8농협공판장을 통해 취급된 수입농산물은 총 605,288톤으로 1 1,918억 원으로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도별로는 2013 11 4,770 2,124억 원에서 2014 112,767 2,234억 원, 2015 12 8,504 2,499억 원, 2016 13 8,441 2,846억 원으로 점차 증가했다. [1]

최근 5년간 농협공판장에 취급된 수입농산물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과일류가 9,206억 원 77.2%, 채소류 1,750억 원14.7%, 기타 962억 원 8.1% 인 것으로 확인됐다.

 

취급상품을 보면 바나나(4,182억 원), 오렌지(2,043억 원)를 포함해 국내에서도 생산되고 있는 포도(1,042억 원), 당근(445억 원), 호박(325억 원), 마늘(307억 원)등이 농협공판장에서 취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협공판장이 유통하는 전체 취급액 대비 수입 농산물 비중도 매년 증가했다.

2016년 말 기준 농협공판장 총 취급액 중 수입농산물 취급액은 7.3% 2013 5.6% 대비 1.5% 늘어난 수치다.

연도별로는 2013 5.6%, 2014 6.3%, 2015 6.6%, 2016 7.3%로 농협공판장의 수입농산물 비중이 점차 증가한 것이다.

 

이에 박완주 의원은 농협공판장에 수입산 비중이 높아지면 결국 우리 농업인의 소득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소득 5천만 시대를 열겠다던 농협이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사내 공판장부터 국내농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