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퓨리나사료, 슈퍼맘 케어500… 양돈 캠페인

제갈형일 퓨리나 부장 “전환기 관리 통한 자돈 총산 생존율 개선에 중점”

퓨리나사료, 슈퍼맘 케어500양돈 캠페인

제갈형일 퓨리나 부장 전환기 관리 통한 자돈 총산 생존율 개선에 중점 

퓨리나사료(대표이사 이보균)는 최근 대전 인터시티 호텔에서 “FY2018 퓨리나 양돈 캠페인을 가졌다. 다산성모돈에 최적화된 글로벌 핵심 기술을 접목하여 더 강화된 퓨리나 슈퍼맘 프로그램을 출시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제갈형일 퓨리나 양돈전략마케팅 부장은 최근 다산성 종돈이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평균 PSY와 이유 후 육성율에서 근본적인 개선이 미흡한 실정이다. 다산성 종돈의 유전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춘 사양과 영양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선진국 수준인 PSY30두 달성을 목표로 카길의 글로벌 기술을 총 집약한 퓨리나 슈퍼맘 모돈 프로그램을 출시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자돈 총산 생존율 개선에 중점을

퓨리나사료에서는 모돈 생산성에 관한 지표로써 자돈 총산 생존율(Livability)를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양돈 선진국에서는 다산성 모돈의 사산두수 감소와 생시체중 및 균일도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인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고, 총 산자수 대비 자돈 생존율을 뜻하는 자돈 총산 생존율(Livability)개선을 위해서는 분만 전 7일 분만 후 3, 10일간의 전환기 기간이 특히 중요하며, 이 기간 동안 모돈에게 세심한 관리와 더 강화된 영양 공급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퓨리나 슈퍼맘 케어 500 소개

신제품 퓨리나 슈퍼맘 케어 500은 전환기 10일간 매일 500g씩 모돈에게 한층 강화된 영양을 공급하는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사산두수 및 저체중 자돈두수를 줄이고, 모돈의 원활한 분만과 초유 분비를 도와 분만 초기 자돈 폐사율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출시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높은 이유체중과 이유두수를 달성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신제품은 카길 글로벌 기술의 적용과 수많은 필드 실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져 다산성 모돈의 자돈 이유체중과 이유두수를 높이는데 농가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더 쉽게 더 빠르게 디지털 툴 선보여

퓨리나사료는 고객들이 더 쉽고 빠르게 농장의 생산성을 올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마케팅 툴을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농장관리 전산 프로그램인 스마트돈컴의 업그레이드를 하였으며, 기존 퓨리나 돈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스마트돈컴으로 연결하여 보다 편하고 정확하게 농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QR 코드와 모바일 홈페이지를 통해서 고객들이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통하여 퓨리나 슈퍼맘 프로그램 정보와 사양관리 프로그램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퓨리나사료는 신제품 소개 회의와 함께 전국적인 캠페인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