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생태계 교란 저승사자… 하늘아래 ‘가시박’ 잡아라!

북미지역에서 오이대목으로 들여와 강과 하천으로 번져

생태계 교란 저승사자하늘아래 가시박잡아라!

북미지역에서 오이대목으로 들여와 강과 하천으로 번져

 

최근 강 주변, 논둑, 밭고랑 등 가릴 것 없이 식물 가시박이 전국적으로 대 발생됨에 따라 전국 지자체에서 가시박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환경부지정 생태계 교란식물 14종 중 하나인 가시박은 캐나다 북미 원산지의 귀화식물로 강유역에서 흔히 자라는 박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국내에는 지난 70년대 후반 오이 등 박과채류 대목으로 들여와 현재 전국의 강과 하천일대에 광범위하게 확산돼 문제가 돼 있는 상황이다. 가시박은 길이 4~8m, 잎은 지름 10cm정도의 오각형으로 연한 털이 밀생한다.

 

가시박은 다른 식물이 숨 쉴 틈새를 주지 않고 제 아무리 키가 큰 나무라도 타고 올라가 고사시킨다. 이에 식물계의 저승사자로 불린다. 씨앗 하나가 25m까지 덩굴을 뻗으며 수만개의 씨앗을 만들고 그 씨앗들은 땅속에서 약 7년가까이 생존해 번식력이 대단한 잡초다.

가시박은 최근 비농경지 뿐만 아니라 논둑이나 밭 농경지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작물에 큰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가시박은 외래 박과품종으로 국내 박과작물에 비해 왕성한 생명력과 국내 병해충에 저항성이 우수해 수박이나 오이 같은 박과 작물과 교배시키기 위해 들여온 품종이다. 하지만 이제는 모든 작물에 피해를 줄 정도로 번식이 강력해 가시박 잡초방제에 비상이 걸렸다. 가시박은 덩굴성이라 손이나 기계로 하는 예초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잘린 부분에서 다시 또 자라나 방제하기가 정말 어려운 잡초다.

 

경농의 하늘아래는 잡관목, 난방제 광엽잡초에 방제효과가 우수한 약제다. 잡초의 경엽을 통해 흡수된 후 생장점으로 이행되어 식물의 생장호르몬을 저해해 방제하는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다. 일년생잡초 뿐만 아니라 쇠뜨기, 토끼풀, 가시상치, 민들레, 제비꽃 등 다년생 잡초에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낸다. 도깨비가지, 애기수영, 돌소리쟁이, 세열유럽쥐손이풀과 같은 난방제 외래잡초에도 강력한 방제효과를 나타낸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협, ‘2025년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 발표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지난 3일 ‘2025년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를 선정했다. 농협경제지주는 농협쌀 경쟁력 강화 및 우수 브랜드 육성을 위해 2004년부터 매년 평가를 통해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를 선정하고 있으며, 전국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쌀 브랜드 중 매출액 10억 원 이상, 단일 품종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대상이 된다. 농협은 공정성을 위해 일반 소비자가 이용하는 판매처에서 시료를 직접 구입해 평가를 진행했다. 농협식품R&D연구소가 수분·단백질·완전립 등 11개 항목에 대해 품종 및 품위평가를 1차로 실시한 뒤 한국식품연구원의 식미평가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1위는 강원 횡성어사품조합공동사업법인의 ‘횡성쌀 어사진미’가 차지하였다. 어사진미는‘임금님이 하사하신 진귀한 쌀’이라는 의미처럼 남한강 최상류인 섬강의 깨끗한 물과 청정한 토양에서 생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단백질 함량으로 밥맛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2위부터 8위에는 ▲충남 해나루쌀(당진해나루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전남 한눈에반한쌀(옥천농협) ▲경기 임금님표 이천쌀(이천농협) ▲충북 왕의밥상 특등급(청원생명쌀조합공동사업법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협, ‘2025년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 발표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지난 3일 ‘2025년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를 선정했다. 농협경제지주는 농협쌀 경쟁력 강화 및 우수 브랜드 육성을 위해 2004년부터 매년 평가를 통해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를 선정하고 있으며, 전국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쌀 브랜드 중 매출액 10억 원 이상, 단일 품종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대상이 된다. 농협은 공정성을 위해 일반 소비자가 이용하는 판매처에서 시료를 직접 구입해 평가를 진행했다. 농협식품R&D연구소가 수분·단백질·완전립 등 11개 항목에 대해 품종 및 품위평가를 1차로 실시한 뒤 한국식품연구원의 식미평가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1위는 강원 횡성어사품조합공동사업법인의 ‘횡성쌀 어사진미’가 차지하였다. 어사진미는‘임금님이 하사하신 진귀한 쌀’이라는 의미처럼 남한강 최상류인 섬강의 깨끗한 물과 청정한 토양에서 생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단백질 함량으로 밥맛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2위부터 8위에는 ▲충남 해나루쌀(당진해나루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전남 한눈에반한쌀(옥천농협) ▲경기 임금님표 이천쌀(이천농협) ▲충북 왕의밥상 특등급(청원생명쌀조합공동사업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