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한야대 엄애선 교수, 어린이집ㆍ초등학교 급식재료 비스페놀A 코팅캔 제품 사용 유의

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캔 식품에서도 환경호르몬 검출됐지만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냐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BPA에 대한 민감도 높아,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한양대 엄애선 교수팀, 다소비 캔 식품 25종 수거해 검사한 결과

 

국내에서 소비량이 많은 캔 포장 식품 25종 중 21(84%)에서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인 비스페놀 A(BPA)가 검출됐다. 검출량이 극미량이어서 아직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BPA는 사람이나 동물의 체내로 들어오면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으로, 폴리카보네이트(PC) 소재 플라스틱과 에폭시 수지 합성의 기본원료로 사용된다.

 

1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한양대 식품영양학과 엄애선 교수팀이 대형 마트에서 구입한 스위트콘배추김치참치연어닭가슴살장조림메추리알꽁치 등 어린이가 즐겨 먹는 캔 포장 제품 25종에 대한 비스페놀 A 노출량 검사를 실시한 결과 탄산음료주스파인애플 통조림 등 4종을 제외한 나머지 21종에서 비스페놀 A가 각 제품 5.9291검출됐다.

 

BPA는 현재 식품이나 음료 캔의 보호용 코팅제로 널리 사용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2년 젖병 제조의 원료로 BPA의 사용을 금지했다. 최근 미국에서 식품 또는 캔 용기에서 BPA 사용을 불허하는 유해 첨가물 금지법안이 발의돼 BPA를 둘러싼 안전성 논란이 재가열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선 911세 어린이가 국내 유통 캔 제품을 매일 한 개씩 섭취한다고 가정하면 남아는 하루 1.5, 여아는 1.6BPA를 섭취하는 것으로 계산됐다.

 

유럽식품안전청(EFSA)이 정한 BPA의 하루 섭취 권장량은 각자의 체중 당 하루 4이하다. 예컨대 체중이 40인 어린이라면 BPA를 하루 4×40=160보다 적게 섭취해야 한다는 의미다.

 

BPA의 하루 섭취 권장량과 캔 제품을 통해 섭취하는 실제 BPA 노출량을 토대로 산출한 남아의 BPA 위해지수(HI)0.38, 여아는 0.43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위해지수가 1보다 작으면 유해가 우려되지 않는 수준이므로, 아이가 국내 캔 제품을 하루 1개 이하 섭취할 경우 캔 제품을 통한 BPA 노출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엄 교수는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BPA 등 유해물질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아동 대상 BPA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어린이집초등학교 급식 재료로 BPA 코팅이 된 캔 식품의 사용에 유의할 것을 권장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양봉협회, 세계 꿀벌의 날!... 슬로베니아 한국대사관과 협약체결
한국양봉협회는 5월 20일, 서울 슬로베니아 대사관에서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와 한국양봉농협이 양봉 6차산업 혁신과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은 2년간 유효하며 이견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2년씩 그 효력이 연장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는 “양국의 양봉교류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또한 세계 꿀벌의 날이 슬로베니아에서 UN에 건의하여 지정된 만큼 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꿀벌의 날’이 정부 공식 기념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며 꿀벌의 날의 공식 기념일 지정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호 회장은 “슬로베니아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선진양봉국가로 꿀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봉문화와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꿀벌 질병예방·관리 시스템은 우리가 배우고 도입해야할 중요 모델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양봉산업이 한단계 발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라며, 업무협약에 대한 긍정적인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양국은 꿀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공동 홍보 활동도 함께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이번 업무협약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