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볍씨’ 소독으로 벼 ‘키다리병’ 줄이자

국립식량과학원, 벼 키다리병 예방 방법 소개

볍씨소독으로 벼 키다리병줄이자

국립식량과학원, 벼 키다리병 예방 방법 소개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매년 발생하는 벼 키다리병 발생을 줄이기 위해 볍씨 종자 소독기술을 철저히 실천할 것을 당부했다.

볍씨 종자소독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소독 온도와 소독 시간 등 적절한 소독방법과 조건을 준수해야 벼 키다리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먼저, 소금물가리기를 통해 건전한 볍씨를 가려내면 소독효과를 2030% 높일 수 있다. 종자의 까락을 없앤 후 메벼는 물 20L 당 소금 4.2kg, 찰벼는 물 20L 당 소금 1.3kg을 녹인 다음 볍씨를 넣는다.


물에 뜬 볍씨를 골라내고 가라앉은 볍씨를 깨끗한 물에 23회 씻은 후 건조해 사용하면 된다. 소금물가리기를 마친 볍씨는 적용 약제별로 희석배수에 맞게 희석한 후 20L당 볍씨 10kg을 온도 30에 맞춰 48시간 담가두면 된다.

 

특히 벼 키다리병 감염이 우려되는 볍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투이행성 약제를 선택해 30에서 48시간 침지하고, 싹이 트기 시작할 때 다른 약제 1종으로 24시간 침지하거나 습분 처리 후 파종하는 체계처리 방법을 활용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약제로 처리해 소독할 시, 해마다 같은 계통의 약제를 사용하면 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2년 주기로 약제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

친환경 벼 재배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온탕침지 소독 시에는 60의 물 300L당 볍씨 30kg10분 동안 담가두면 약제소독과 비슷한 소독효과를 볼 수 있는데, 볍씨를 10 15단위로 나누어 침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온탕침지에 민감한 고운벼’, ‘삼광벼’, ‘운광벼’, ‘일미벼’, ‘풍미벼’, ‘동진1’, ‘서안1’, ‘신운봉1등은 처리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허성기 재배환경과장은 실제 농가현장 사례조사에서도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보급한 볍씨 소독기술을 잘 준수했을 경우 벼 키다리병 예방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라며, “앞으로도 볍씨 소독효과가 높은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 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