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장마철 농작물 관리 주의

평년 보다 긴 장마와 일조시간 부족으로 병 발생 우려

올해 장마는 6월 10일 시작되어 평년 30일 보다 길게 이어지고 7월 13일 기준 강우일수 또한 20일로 많아 농작물 병 발생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정대천)은 올해 장마철 잦은 비 날씨에 따른 노지감귤원은 검은점무늬병, 시설하우스는 정전에 의한 고온피해, 밭작물은 역병 및 덩굴마름병 등 발생 우려가 커 농작물 관리 주의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6월 10일부터 7월 13일까지 도 평균기온은 22.4℃로 평년과 비슷했으나 강우량은 502.2mm로 평년보다 192.2mm 많고 일조시간은 129.2시간으로 평년보다 12.1시간이 적었다.

 

감귤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검은점무늬병은 20℃에서 12시간 이상 습윤 조건이 필요하다. 7월 상순부터 최저온도 20℃를 넘어서고 강우량 및 강우일수가 평년보다 많아 감귤열매가 젖어 있는 시간이 12시간 이상을 경과하면서 죽은 가지가 많은 감귤원을 중심으로 병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좌읍, 표선면 더덕 주 재배지역은 7월 10일부터 13일까지 계속된 비 날씨와 200mm이상 많은 강우량으로 점무늬병, 녹병, 줄기썩음병 등 확산 우려가 되고 있다.

 

노지수박과 단호박 재배 주산지는 강우량이 적어 역병 및 덩굴마름병 등 병 발생은 평년 수준으로 예상되지만 철저한 배수관리와 사전방제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시설감귤하우스 낙뢰에 의한 화재 및 누전차단기 고장으로 고온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노지감귤 검은점무늬병은 장마기에 70% 이상 감염되기 때문에 비가 오기 전에 방제해야 하나 방제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비가 그친 후 48시간 이내에 방제해야 한다. 또한 누적 강수량이 200mm이상일 때마다 방제해야 한다.

 

밭작물은 비가 오기 전에 PLS를 준수해 적용약제를 살포해 예방하는 것이 피해를 줄일 수 있으나 사전 예방을 못한 경우 비가 끝친 후 서둘러 방제해야 한다. 시설하우스는 강풍과 벼락 예보 시 누전 차단기 동작, 우적센서 고장 등 사전점검으로 피해예방에 힘써야 한다.

 

허영길 농업재해팀장은 ‘비가 오기 전에 약제 살포하는 것이 병 방제 예방효과가 높다.’고 전하면서 ‘시설하우스 고온 피해 예방을 위한 전기 시설 점검에도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협, ‘2025년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 발표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지난 3일 ‘2025년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를 선정했다. 농협경제지주는 농협쌀 경쟁력 강화 및 우수 브랜드 육성을 위해 2004년부터 매년 평가를 통해 ‘팔도 농협쌀 대표브랜드’를 선정하고 있으며, 전국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쌀 브랜드 중 매출액 10억 원 이상, 단일 품종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대상이 된다. 농협은 공정성을 위해 일반 소비자가 이용하는 판매처에서 시료를 직접 구입해 평가를 진행했다. 농협식품R&D연구소가 수분·단백질·완전립 등 11개 항목에 대해 품종 및 품위평가를 1차로 실시한 뒤 한국식품연구원의 식미평가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1위는 강원 횡성어사품조합공동사업법인의 ‘횡성쌀 어사진미’가 차지하였다. 어사진미는‘임금님이 하사하신 진귀한 쌀’이라는 의미처럼 남한강 최상류인 섬강의 깨끗한 물과 청정한 토양에서 생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낮은 단백질 함량으로 밥맛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2위부터 8위에는 ▲충남 해나루쌀(당진해나루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전남 한눈에반한쌀(옥천농협) ▲경기 임금님표 이천쌀(이천농협) ▲충북 왕의밥상 특등급(청원생명쌀조합공동사업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