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산물 '학교급식' 표준가격 산정모델 관심도 커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가격, 유통비용, 수율 등 데이터 활용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김경호)는 2020년 6월 19일, 본사 강당에서 학교급식 축산물 가격 산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축산물 학교급식 표준가격산정모델 구축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가격산정모델은 소, 돼지 경락가격을 기초로 도축, 가공, 학교 배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합리적으로 반영하고, 축산물품질평가원의 전국적인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부위별 생산량, 가격 특성 등을 적용한다.

 

공사는 이를 위해 2018년 11월 축산물 등급판정과 이력제관리, 유통실태 조사를 담당하고 있는 축산품질평가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관련 TFT를 구성하여 공동으로 조사 연구를 진행해 왔다.

가격산정모델 구축에 참여한 축산물품질평가원 관계자는 그동안 교육부와 여러 지방 교육청에서 학교급식 축산물 가격 산정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 해왔었다며, 이번에 구축한 가격산정모델이 해결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1부 설명회, 2부 전문가 심포지엄 순으로 진행되었다. 최근 코로나19 재 확산 우려에 대비하기 위해 관련 업체 참석자 수를 최소한으로 제한하였고, 행사 전 사전 방역과 참가자에 대한 마스크 체크, 손세정, 발열체크와 함께 보건복지부의 전자출입 명부(QR코드) 출입 체크로 만약의 사태에 대비키로 했다.

 

공사 김승로 수축산급식팀장은 2학기부터 가격산정모델이 적용될 수 있도록 축산물품질평가원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모델을 완성할 계획이며, TFT에 참여하고 있는 경기도, 세종시는 물론 전국 학교급식에서 가격산정모델이 사용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