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퇴비부숙도'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축산환경관리원 '퇴비부숙도' 기준 준수 위해 축산농가 기술지원 나선다
퇴비 부숙도 중앙지원반 구성·운영, 유선 및 인터넷 상담소 운영
축산환경관리원, 대학교수, 국립축산과학원 및 농·축협 직원 등 전문가로 9개팀 지역별 지원

축산환경관리원(원장 이영희, 이하 관리원)은 가축분뇨 퇴비 부숙도 기준 시행(‘20.3.25.)에 앞서 기술적, 제도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축산농가를 위해 교육·컨설팅 및 상담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가축분뇨 퇴비 부숙도 기준 시행으로 악취 저감 및 퇴비의 품질 향상이 기대되는 가운데 축산농가에서는 퇴비화 방법, 퇴비사 설치·개조 및 장비 구입 문제, 고령화로 인한 이해부족 등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관리원은 지난 해 12월부터 퇴비 부숙도 중앙지원반을 구성·운영하고 있으며 유선 및 인터넷 상담소도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

중앙지원반은 관리원, 대학교수, 국립축산과학원 및 농·축협 직원 등 전문가로 9개 팀(총 49명)을 구성하여 지자체별로 구성된 지역컨설팅반과 축산농가 교육·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9개 팀 담당지역은경기·인천(1팀), 강원(2팀), 충북(3팀), 충남·대전·세종(4팀), 전북(5팀), 전남(6팀), 경북·대구·울산(7팀), 경남·부산·제주(8팀), 추가·예비(9팀)이다.

교육·컨설팅은 부숙도 관련 법령, 축사바닥(깔짚)·퇴비사 교반 및 퇴비화 방법, 부숙도 육안판별 및 시료채취 방법 등에 관한 교육을 지역 교육여건(방역문제, 교육장소 등)에 따라 이론, 실습 및 시연회 방식으로 진행한다.

 

현재 지역컨설팅반 142명, 축산농가 7,767명 교육을 완료했으며 특히, 지역컨설팅반에 대해서는 축산농가 현장지도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1월까지 교육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유선 및 인터넷 상담은 퇴비 부숙도에 관한 궁금증을 홈페이지와 유선통화를 통해 지자체 담당 공무원 및 축산농가에게 즉시 답변하고 있다.

 

상담소에서는 퇴비 부숙도 기준 시행에 따른 관련 법규 및 제도 정보, 기준 적용기준 및 시기, 위반시 과태료 및 행정처분 등 설명을 한다.

또, 축종별 가축분뇨 자원화 표준설계도상 처리방법별 적정 용적(유효높이, 면적), 축사의 깔짚(톱밥, 왕겨)의 두께 및 교체주기, 뒤집기 횟수 등 관리 방법 안내해 준다.

 

이 외에도 퇴비 부숙도 검사를 위한 시료 채취 및 운송 방법, 지역 내 검사기관, 검사방법(콤백, 솔비타) 등 절차 안내와  퇴비 부숙도에 관해 궁금해 하는 사항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관리원 이영희 원장은 “3월 25일에 시행되는 퇴비 부숙도 기준 준수 의무화에 대비하여 축산농가의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축산농가가 전화 및 인터넷 상담소를 적극 이용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 “국내 최고의 젖소 찾는다!”
.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안성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에서 ‘제11회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서울우유 우유군검정연합회가 주관하는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는 1997년부터 시작된 낙농가 최대 축제로,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국내산 홀스타인 품종 젖소 중 농림축산식품부 젖소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유량과 건강 상태가 뛰어난 젖소를 선발해 국내 낙농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제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60개 농가에서 엄선한 120두의 젖소가 출품돼 국내 최고의 젖소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펼칠 예정이며, 특히 올해 11월 캐나다 ‘로얄 윈터페어 홀스타인 쇼’ 심사를 맡은 조엘 르파쥬 심사원을 초빙하여 심사 전문성을 강화한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낙농가 축제인 만큼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우유, 발효유, 치즈 등 유제품 시식 행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낙농산업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는 로봇착유기, 사료, 첨가제, 낙농기계 등 약 50여개의 낙농기자재 업체 전시회도 열린다. 또한, 낙농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