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암소' 사육월령 증가

축산물이력제 빅데이터 분석결과, 한우암소 번식의지 높아져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암소 도축월령 3년전보다 2.5개월 연장
한우암소 도축마릿수 변화는 장기사육 후 도축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 증가 추세
장기사육 그룹 초과사육으로 도축월령 증가하고, 1등급 이상 출현율 감소
60개월이상 中 1등급이상 출현율 ’17.10월 28.3%→’18.10월 27.7→’19.10월 24.7로 3.6%p↓
60개월령이상 송아지 분만 수 '17.1∼10월 16만5천두→ ''19.19만두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은 한우 수소(거세우 포함)에 비해 송아지 가격, 지육가격 등에 의해 영향이 많은 한우 암소에 대한 최근 3년간 도축출하 실적 및 사육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한우 암소의 평균 도축출하 추이를 보면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3년 전에 비해 2.5개월 지연 출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암소(전체)의 평균 도축월령(’17년 1월~ ’19년 10월)은 52.4개월(’17년)에서 54.3개월(’19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우 암소의 도축형태를 조기도축 그룹(36개월 이하), 평균도축 그룹(37∼59개월), 장기사육 그룹(60개월 이상)으로 분석한 결과 장기사육 그룹에서 사육마릿수와 도축두수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평균적으로 도축하는 그룹에 비해 사육두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36개월 이하그룹과 60개월 이상 그룹의 특징을 보면 도축월령 변화는 조기도축 그룹은 3년 전에 비해 0.5개월 단축되고,  장기사육 후 도축 그룹은 3.5개월 지연 도축되었다.

 

 

1등급 이상 출현율 변화는 조기도축 그룹은 미미(65.2∼65.5%), 장기사육 그룹은 3.6%p 감소(28.3% → 24.3%)하였다.

1등급 이상 경락가격 변화는 조기도축 그룹의 1등급이상 경락가격이 장기사육 그룹에 비해 평균 2,271원/kg 높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최근 3년이상 지속되는 송아지 가격 상승1) 과한우 가임암소(15개월령 이상)의 증가2) 및 한우농장의 우량암소에 대한 번식의지3)가 높아진 것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평원 관계자는 “유전능력이 좋은 암소의 장기번식은 바람직하지만, 송아지 생산의 지속적인 증가는 장기적으로 수급불균형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어 한우농가의 저 능력 암소에 대한 현명한 선발과 도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