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감악산목장’… 깨끗한 ‘목장가꾸기’ 큰 자랑

정건화 대표 “HACCP 적용목장·젖소가 행복한 목장”에 큰 보람
‘감악산목장’ 탐방…서울우유협동조합 ‘나100%우유’ 어떻게 생산할까?

<감/악/산/목/장/탐/방…서울우유협동조합 ‘나100%우유’ 어떻게 생산할까?>

서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서울우유협동조합에 ‘나100%우유’를 생산하고 있는 ‘감악산목장’이 위치하고 있다.

승용차로 1시간여 거리를 달리면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에 감악산목장(대표 정건화·최명옥 부부)이 자리 잡고 있다.

기자도 오랜만에 목장을 찾았다. 그런데 목장규모가 예전보다 훨씬 더 커졌고, 목장도 훨씬 더 깔끔하고 깨끗하다는 첫 느낌이다.

 

낙농목장을 잘 관리하는 가족들 모습이 다들 그렇지만 여기 감악산목장을 관리하는 부부의 부지런함이 한눈에 묻어 있다.

그도 그럴만하게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 목장입구에 훈장처럼 걸려 있는 명판들을 눈여겨 보면 선진목장으로 만들어가는 목장주의 땀방울을 고스란히 확인할 수가 있다.

 

정건화 대표가 목장을 설명하기에 앞서 훈장처럼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다는 목장입구 명판들을 한번 들여다 봤다. 구경해 보자.

△농림축산식품부 깨끗한 축산농장 △서울우유사료 우수농장 △신선에너지 우수축산자조금연합 목장 △HACCP기준 적용목장 △축산물HACCP운용 우수작업장 △깨끗한 목장가꾸기운동 목장 △젖소가 행복한 목장 등 자랑할 만한 명패들이 즐비하게 걸려 있다.

사실 일반농가들은 이런 명판을 하나 걸어 놓기가 쉬운 일은 아니다.

감악산목장의 이런 노력들은 고스란히 원유생산으로 나타나고 있다.

감악산목장 정건화 대표는 지난 1990년 서울우유협동조합 조합원이 됐다.

서울우유협동조합 대의원과 비상임이사를 세번째 역임하고 있는 정건화 대표는 “계획교배에 의한 젖소개량으로 산유량 향상에 역점을 두는 동시에 HACCP 위해요수중점관리에도 최선을 다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안전한 원유생산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또, 정 대표는 “서울우유 조합원 모두가 힘을 모아, 조합발전과 낙농가 모두에게 보다 많은 혜택이 돌아 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감악산목장의 최근 3년동안 실적을 살펴보면 체세포수 8만7천∼12만3천, 세균수 5천∼7천, 단백율 3.2%, 유지율 3.9∼4.1%라는 최고급 원유를 목장에서 생산해 서울우유에 납품하고 있다.

이런 최고급 원유를 감악산목장은 1일평균 1천 950리터를 집유한다.

특히, 감악산목장은 우사 1천400평에 육성우와 초임우, 건유우, 착유우별로 분리사육하면서 급수통을 사람이 바로 떠 마셔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급수관리에 신경을 크게 쓴 부분도 눈여겨 볼 만하다.

감악산목장은 지난해 경기도로부터 ‘행복목장’으로 지정되어 경기도와 양주시로부터 1억원을 보조 받아 목장지붕을 환기가 잘 되도록 개조해 목장이 더욱 쾌적해 졌다.

또 경기도가 시행중인 ‘행복농장’ 지원 자금을 통해 4톤용 냉각기와 대형선풍기 10대를 목장에 추가로 설치했다.

보기에도 다른 목장에 비해 감악산 목장은 초대형 선풍기들이 좀 더 많이 설치돼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실제 감악산목장은 이 덕분에 목장 바닥을 빠른 시간에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축사냄새 예방은 물론 젖소와 목장환경까지 행복하게 만들어 줘 정건화·최명옥 부부는 경기도의 ‘행복농장’ 제도 추천에 이어, 큰 호평도 아끼지 않았다.<감악산목장=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