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임산물 생산액 9조원 돌파

산림청 2016년 임산물 생산조사 결과... 전년대비 10.4% 증가

임산물 생산액 9조원 돌파

산림청 2016년 임산물 생산조사 결과... 전년대비 10.4% 증가

 

지난해 임산물생산액이 전년(201583378억 원)보다 10.4% 증가한 92032억 원으로 9조 원을 돌파했다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임산물 생산조사 결과26일 발표했다.

 

임산물 생산조사는 주요 14147개 품목의 임산물 생산량과 생산액을 조사해 각종 임업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지난 1910년부터 관련 조사가 실시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임가를 대상으로 한 표본조사(5개 품목), 행정조사(26개 품목), 전수조사(116개 품목)로 진행됐다. 

분석 결과, 임산물생산액은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지난해 92032억 원을 기록했다

생산액은 크게 토석(36619억 원) 단기소득임산물(27664억 원) 순임목*(21700억 원, 잠정치) 용재**(4906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석은 중요한 건설자재로 하천, 바다 등에서 채취량이 감소한 반면 산림 내 토석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액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액은 전년대비 3.6% 감소했다

지난해 산나물 생산액(4060억 원)이 전년보다 5.9% 증가했으나, 건설경기와 연관성이 높은 조경재 생산액(6537억 원)11.2% 감소했다.

 

기상여건 등으로 수실류(7077억 원 2.3%), 약용식물(5387억 원 4.2%), 버섯류(2379억 원, 2.6%)의 생산액 또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생산액은 경상북도가 15554억 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가장 높았다. 이어 경상남도(12745억 원) 강원도(11736억 원) 충청남도(11093억 원) 전라남도(1960억 원)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액도 경상북도가 6556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라북도(3581억 원) 충청북도(3333억 원) 강원도(3038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류광수 기획조정관은 소비촉진·기술개발·판로개척 등의 지원정책을 통해 임업인 소득 증대를 돕겠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