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한식재단, 각국 해외 한식 확산의 거점 마련

이탈리아 사르데냐 자치정부와 협약을 시작으로 연내 5개국 공공기관과 식문화 프로그램 개발

한식재단, 각국 해외 한식 확산의 거점 마련

이탈리아 사르데냐 자치정부와 협약을 시작으로 연내 5개국 공공기관과 식문화 프로그램 개발

한국 농식품 수출제고를 위해 사르데냐 미슐랭 셰프가 개발한 현지화된 한식 시연

한식재단은 726()(현지시간)에 세계적 휴양지이자 미식문화로 유명한 이탈리아 사르데냐 자치정부(Regione Autònoma de Sardigna)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사르데냐는 이탈리아 서쪽 해상에 위치한 섬으로 지중해에서 가장 아름다운 휴양지로 알려져 있다. 특히 와인,해산물, 낙농제품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미식 문화가 발달한 지역이다.

 

한식재단과 사르데냐 자치정부는 이번 MOU를 통해 향후 이탈리아 내 한식 및 한국 농식품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한식을 통한 상호 교류 및 공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합의했다.

이번 업무협약과 더불어 한식재단은 이탈리아 밀라노 현지에서 한국 농식품 수출제고를 위한 한식 시연 및 시식회를 개최한다.

 

현지 미디어, 파워블로거, 셰프, 식품 업계 및 요리학교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장과 김치 등 한국 전통 식재료를 사용하되, 한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현지 식재료도 활용한 고추장으로 맛을 낸 면요리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탈리아 지역의 한국 농식품 및 식재료 관심 증대를 위해 기획한 이번 행사에서는 사르데냐의 미슐랭 1스타 레스토랑 사포센투(S’APPOSENTU)의 로베르토 페자(Roberto Petza) 셰프가 참여하여 더욱 의미를 더한다.

또한 사르데냐 음식의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설립된 현지 명문 요리학교 까사 푸두 아카데미(L’Accademia Casa Puddu) 관계자도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MOU체결에 따른 상호 교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다가오는 928일 서울에서 개최하는 2회 월드한식페스티벌에 사르데냐 자치정부 및 주요 식품업계 관계자를 방한 초청하여 국산 농식품과 한국 전통 미식에 대한 이해도를 더 높힐 예정이다.

 

한식재단 관계자는 한식재단은 올해 해외한식홍보의 중장기적 성과제고를 위해 사업을 개편하고 아시아를 넘어서는 한식 한류를 위해 북미와 유럽 지역의 5개국(이탈리아, 스웨덴, 미국, 호주, 프랑스)을 거점 국가로 선정하였다.”고 하면서, 향후, 해외 한식당 경쟁력을 높이고, 농식품 수출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대상 국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탈리아는 미식 장벽이 높은 지역이지만 그만큼 농식품 수출 성장 잠재력이 큰 새로운 시장이라며,“이번 사르데냐 자치정부와의 업무협약을 계기로 향후 신 시장 개척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