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협경제지주 '무허가축사' 어쩌나(?)

김태환 축산경제대표 '법적 유예기간 1년남아 있어 축산농가들 적법화 해결위해 총력'

전수조사 115천호 중 60,190호가 무허가 축사로 분류(52.2%)

적법화 지원단 확대, 건축사협회와 업무협약 추진 등으로 해결 총력

 

무허가축사의 법적 유예기간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2014324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시발된 무허가축사 적법화 법적 유예기간은 18324일로 종료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01610월 발표한 전수조사자료에 의하면 지자체 조사농가 115천여호 중 60,190호가 무허가축사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지난 1월 말 현재 1,448호가 적법화가 이루어전체 무허가축사보유농가 중 약 2.4%만이 적법화된 것으로 조사되었. 한편 적법화가 진행 중인 농가는 8~10천호인 것으로 농협은 파악하고 있다.


무허가축사의 적법화는 규모에 따라 최대 2024년까지 적법화가 가능하지만, 가축분뇨법의 가축사육제한구역 배출시설에 관한 특례조항, 배출시설 폐쇄명령에 관한 특례조항, 위탁사육제한 특례조항 및 건축법상 이행강제금 감경특례 등의 법규가 모두 2018324일을 기한으로 멸실되는 조항이기 때문에 무허가축사를 보유한 대부분의 농가는 1년 내에 적법화를 해야 한다.


농협경제지주는 축산업의 지속적인 기반 유지를 위해 지역품목 축협함께 1년 이내 적법화를 최대한 완료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올해 적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농가의 가축 사육이 어려워져, 축산업 전체가 위기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농협경제지주는 금년도에 전담팀을 구성하고 무허가 적법지원단을 증편하고, 전국에 158개 무허가축사 적법화 TF팀을 구성하는 등 조직을 확대했다.


또한, 원활한 지원을 위해 대한건축사협회와의 업무협약도 추진한다. 적법화에 필요한 각종 업무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지역별 건축사와의 공조로 혼선을 방지하고 협력체계를 구축, 적법화에 가속도를 낼 방침이다.


농협경제지주 김태환 축산경제대표이사는 전체 농업생산액의 40%차지하는 축산업의 기반유지를 위해, 무허가축사 적법화를 위해 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농가의 적극적인 개선의지와 참, 범국가적인 축산업에 대한 애정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