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종자시장 신규 진입 품종 18%

국립종자원, 신품종 1천917종으로 큰폭으로 늘어

 

국립종자원(원장 신현관)2014년 종자시장에 새롭게 진입한 신품종이 1,917품종으로 전년(1,618품종) 대비 약 18% 증가했다고 밝혔다.

작물별로는 채소류가 1,079품종으로 56%를 차지해 가장 많으며, 화훼 514품종(27%), 과수 163품종(9%), 식량 94품종(5%), 특용 32품종(3%) 순이다.

이중 품종보호 출원되어 육성자에게 독점 실시권이 있는 품종은 621품종으로 전체의 32% 차지하고 있다.

매년 1,500~1,600여건의 신품종이 종자시장에 출시되며, 2014년에는 특히 채소류 신품종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복합내병성, 고기능성 신품종 수요가 많은 고추가 40%, 토마토가 63% 증가하는 등 전년(842품종)보다 237품종이 증가하였다.

소비자 기호가 빨리 바뀌는 채소와 화훼류의 경우 품종 life cycle3~5년으로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식량, 과수류에 비해 매년 많은 신품종이 유통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14년 새롭게 종자시장에 진입한 신규작물은 10종이며, 현재 시장에 유통되는 작물 수는 319()으로 2005227종에 비해 작물이 매우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건강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성향에 발맞추어 새로운 식물 종()과 신품종에 대한 종자 수요가 증가하여 매년 종자시장에 진입하는 신품종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농자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