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생명기술실용화대전 6월 8일 오픈

류갑희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이사장 “돈 되는 농생명기술 한데 모아놨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류갑희)은 오는 6 8()10()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3 C홀에서 농식품 산업의 A부터 Z까지 모든 정보를 얻어갈 수 있는 Farm ACT 2018! 농생명기술실용화대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용화대전은 Farm ACT 2018! 농생명 기술이 미래를 키운다는 슬로건 아래전시 체험 품평회 일자리제품기술 등 농식품 산업의 모든 정보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원스톱 종합 프로그램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7개 전시체험관(우수농업기술관국유특허 전시관스마트팜 전시관기후변화대응관건강미용식품관농기계농자재관창업관)  110여 업체 250부스가 참가한다.

먼저주제관인 우수농업기술관에는 재단의 미션과 비전을 비롯하여 주요업무에 대하여 고객들이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웹툰, PDP 모니터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소개 한다.

그리고·우로는 재단 창립 이래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다양한 특허기술들을 실용화한 성과물과 종자관련 우수품종들을 전시할 예정이다. 

주제관 옆에 자리한 국유특허 전시관은 재단의 주 임무인 국유특허기술의 신속한 이전과 사업화를 위한 시스템과 매뉴얼이 자세히 소개될 예정이며스마트팜 전시관은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농업용 로봇을 비롯하여 미래 우리 농업의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수 있는 업체들과 제품들에 대하여 소개한다그 외기후변화대응관건강미용식품관농기계농자재관창업관에는 이제까지 각 부문별로 재단과 같이 성장해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업체창업성장 지원업체기술금융 지원업체 등이 각자 부스에서 전시·체험 형식으로 참여한다.

 

이번 행사기간 동안 일반 관람객 및 농식품 관련 종사자를 위한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하였다먼저특설무대에서는 현장에서 신청한 제품을 경매/할인 판매하는 ‘오늘의 팜 홈쇼핑을 진행하며그 중 인기 상품은 유명 유튜버를 통해 유튜브 채널로 동시에 홍보를 추진한다독특한 행사도 있다채소를 이용하여 직접 악기를 만들고 체험하는 ‘팜 콘서트 : 채소악기 공연도 운영하여 가족 단위 방문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매칭’ 행사는 전 세계 10개국 50명의 바이어를 초청하여수출 희망 국내 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제품수출 매칭상담회를 진행한다농식품 기업 구인구직자를 위한 ‘일자리 한마당도 개최된다농식품기업의 취업정보를 제공하고재단 및 우수 농식품기업체의 채용부스 운영을 통해 청년일자리 창출에도 힘쓸 예정이다. 

 

그 외에도 국가 기본산업인 농생명 분야의 연구개발 및 실용화성과를 전시·홍보하고 심도 있는 정보제공을 위하여국유특허권 공동기술이전 설명회기술이전 및 창업보육 우수제품 품평회국가별 수출전략 세미나해외 농식품 트렌드 공유스마트 팜 표준화 심포지엄 농식품산업 에너지효율·생산성 증대를 위한 기술포럼 등도 행사기간 중에 개최한다.

 

재단은 이번 실용화대전을 통해 우수 실용화제품 전시·홍보를 통한 농산업체 매출성장 및 일자리 창출수출상담회세미나를 통한 수출촉진( ‘18년 목표 2$)  스마트 팜 운영과 표준화 심포지엄을 통해 농업분야의 4차산업 혁명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