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닭’ 폭염 피해 주의, 예방 방법은?

비타민·전해질 먹이고… 환기로 축사 내부 열 배출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여름철 닭의 고온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한 사양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닭은 몸 전체가 깃털로 덮여 있고 땀샘이 발달하지 않아 체온 발산이 어렵기 때문에 폭염으로 가장 많이 피해를 보는 가축이다.

 

닭이 고온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사료 섭취량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산란계의 산란율이 낮아지고 달걀 무게가 감소하며, 난각(달걀껍데기)질이 나빠진다. 육계는 체중 증가가 더뎌 생산성이 낮아진다.

 

여름철 닭의 사료 섭취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서늘한 시간에 사료를 주거나 같은 양의 사료를 횟수를 늘려 나눠준다. 사료 1톤에 비타민 시(C) 250∼300g을 혼합해 먹이면 사료섭취량 감소로 인한 체내 영양 불균형을 예방할 수 있다.

 

산란계는 칼슘 함량을 높여 먹이면 난각질이 나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육계는 출하 2일전 물 10톤에 전해질제제 KCl(염화칼륨) , NaHCO3(중조, 탄산수소나트륨), NaCl(소금)

(염화칼륨 200kg, 중조 200kg, 소금 100kg)를 희석해 먹이면 수송 중 고온스트레스를 줄여 도체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먹이통(사료빈)을 수시로 확인해 곰팡이 등 사료 변질 여부를 점검하고, 급수관을 정기적으로 소독해 신선한 물을 충분히 공급한다. 닭은 평소 사료 섭취량의 2배 정도 양의 물을 마시는데, 고온기에는 물 마시는 양이 사료 섭취량의 4~8배까지 늘어난다.

 

축사 내부의 열은 환기를 통해 적정 풍속을 만들어 배출하면, 닭의 체감온도를 떨어뜨려 고온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바람이 축사 내부를 길게 통과하는 터널식 환기 방식 계사의 한쪽 끝에 환기팬을 설치하고 반대편 끝이나 측벽에 입기구를 설치하여 바람이 터널을 통과하듯 계사 내부를 통과하는 방식은 공기 흐름이 빨라 닭의 체감온도를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축사 지붕 아래 중간 천장을 설치하면 풍속을 2배 정도 높일 수 있으며, 연결식 환풍기를 이용해 공기가 정체되는 곳이 없도록 해준다. 외부공기 습도가 높지 않을 때에는 냉각판으로 냉방 효율을 개선하면 더 좋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시동 가금연구소장은 “계사 내 시설환경과 영양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꼼꼼히 점검하여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육계를 키우는 최길영 대표(경기도 화성시)는 “올여름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료와 환경관리에 각별히 신경 쓸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