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뉴트리카프, 비육사업의 기초이자 강력한 토대 건강한 송아지로부터 시작

안대봉 이사 "뉴트리카프 최초 포유 한우 송아지 전용사료 생후 2개월령까지 높은 충족"

뉴트리나 축우 캠페인

안대봉 이사 "뉴트리카프 최초 포유 한우 송아지 전용사료 생후 2개월령까지 높은 충족"

뉴트리카프, 비육사업의 기초이자 강력한 토대 건강한 송아지로부터 시작

가을은 흔히 천고마비(天高馬肥)의 계절이라 한다. 의미를 보면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이긴 하나 가을에는 말만 살 찌는게 아니라 소도 살이 찐다. 추운 겨울을 대비해 몸에 살을 찌우고 지방을 비축하는 것이다. 한우 사업 관점에선 천고우비(天高牛肥)라는 사자성어가 더 잘 어울리는 것 같은 가을이다.

 

한우는 한국 소비자에게 절대적인 사랑과 대표 먹거리로 인정받고 있지만 농가에선 보이지 않는 고민들이 있다. 전국 한우 농가들의 거세우 등급 출현율을 보면 2004년부터 2017년까지 1++, 1+ 등급은 지속적으로 높아졌으며, 1~3등급 출현율은 현저히 떨어지며 한우 고급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갈수록 올라가는 입식 송아지의 가격과 부족현상으로 비육우 산업에 적극적인 투자와 규모 확대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비육우 산업에 입식송아지를 공급해야 하는 번식우 사업에서 입식 송아지에 대한 수요 대비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잘 알다시피 번식농가는 소규모가 대부분이어서 빠르게 규모 확장이 어렵고, 최근 번식농가의 암송아지 입식 의향이 보합 추세인 것이 큰 영향을 주고있다. 규모를 늘릴 수 없다면 차선책으로 번식 및 어린 송아지 육성 효율을 개선해야 한다. 먼저 번식 간격을 12개월 이내로 11산의 목표를 꾸준히 관리해야 하고, 송아지 폐사율을 5% 미만으로 낮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번식우 및 어린 송아지에게 적정수준의 영양소 공급과 목표 체중 관리 또한 필요하다.

 

이에 한우 송아지 발육생리에 맞게 모유 수유만으로는 부족한 영양소를 공급하며, 번식우 사업의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우 송아지 전용 사료가 출시되어 주목받고 있다. 바로 뉴트리나사료의 뉴트리카프한우설화 자우이다.

 

뉴트리나 축우 마케팅 안대봉 이사는 뉴트리카프는 국내 최초의 포유 한우 송아지 전용 사료로서 생후 2개월령까지 높은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키며, 소화율/기호성을 향상 시킨 것이 특징이라고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한우 송아지 유전능력을 극대화 시키며, 일당증체 개선 효과와 함께 감염성/식이성 설사를 예방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어서 개체별 사양관리가 가능한 농가에서 사용하는 한우설화 송아지에 이어 군사 사양관리에 더 적합한 한우설화 자우(子牛) 출시에 자신감을 보였다. 한우설화 자우는 설사 예방과 안정적인

 분변 상태를 유지시켜주어 군사 사양관리에서도 설사에 의한 일당증체량 감소를 막는 것이 차별화 포인트라고 설명하였다.  

 

본 내용들은 지난 1011일 대전광역시 유성호텔에서 진행되었던 2018 회계연도 뉴트리나 축우 캠페인에서 발표되었으며, “건강한 송아지, 비육 사업의 기초슬로건 하에 전국 사업소 사장들과 영업조직 70여명이 모인 자리에서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그리고 현장의 경험과 성공스토리, 제품 리플렛 등을 다양한 콘텐츠를 최적화된 디지털 환경에서 보실 수 있도록 뉴트리나사료 반응형 홈페이지를 런칭하였다. 또한 낙농 목장의 정보(가축, 사육환경, 영양, 생산성 등)와 영양, 번식, 유생산 기록을 통합해 목장의 생산성과 수익을 높이는 카길의 통합 낙농 컨설팅 플랫폼 데어리 엔텔리젠을 소개하였다. 비로서 뉴트리나사료의 디지털 역량 개발에 초석을 다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