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농진청, 9년간 180억 들인 조사료종자, 보급률 38%에 불과

박완주 의원,“자급률 향상을 위해 수입산보다 품질 좋은 종자가 개발돼야”

농진청, 9년간 180억 들인 조사료종자보급률 38%에 불과

축산업 사육 수 꾸준히 증가안정적인 사료수급이 축산경영의 핵심

국내조사료 재배면적은 증가했지만 생산량과 자급률은 정체하락 중

박완주 의원,“자급률 향상을 위해 수입산보다 품질 좋은 종자가 개발돼야 

국내 축산업의 사육 마리수가 20121 75백만 두에서 올해 1 95백만 두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조사료 자급률을 높여야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조사료는 초식가축의 주 영양소 공급원이다청보리이탈리안라이그라스귀리 등이 조사료에 속한다조사료의 국내 연간 소요량은 약 550만 톤이 중 약20%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사료비가 축산업 생산비 중 많게는 60%를 차지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사료가격이 곧 농가 경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사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농촌진흥청은 국내에 보급할 조사료의 종자를 개발해왔다농촌진흥청의 조사료 종자 개발에는2009년부터 9년 동안 179 1300만원의 예산이 들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7 16 4ha에 불과했던 조사료 재배지는 10년 동안 점차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27 2ha를 기록했다. 10년 전과 비교해 65.9%로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문제는 생산량이 조금씩 줄면서 자급률도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작년의 경우 가을철 잦은 강우로 볏짚 수거가 저조해 생산량이 감소한 측면도 있지만 지속적인 자급률 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은 ‘국내산의 품질문제다.

 

농식품부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국산이 수입산에 비해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은 있으나 수분 불균일·이물질 등의 품질문제로 그 동안 국산 사용을 기피한 측면이 있었다고 전해졌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보면농촌진흥청의 종자개발을 통한 국내 조사료의 품질향상은 국내 자급률 제고에 있어서 매우 중대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 박완주 의원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종자의 지난해 보급률은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35.5%에 그쳤다.

 

이에 대해 박완주 의원은 “보급실적이 저조하면 사업의 실효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국내 조사료 자급률이 오르기 위해서 품질 좋은 종자 개발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이어 박 의원은 “내년부터 도입되는 생산조정제를 통해 조사료 재배면적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재배면적 증가가 생산량 증가나아가 자급률 제고로 이어질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이 더 좋은 품질을 개발하고 보급 확대를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강조하며 끝으로 “안정적인 사료공급이 곧 축산농가 경영의 핵심이라고 덧붙였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