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못난이 과일소비 ‘5배 껑충’ 슈퍼곡물 매출 34배까지 뛰었다

간편식품과 컬러농신물 등 '2017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

못난이 과일소비 ‘5배 껑충슈퍼곡물 매출 34배까지 뛰었다

농식품 소비 가치소비·간편·컬러농산물·슈퍼곡물뜬다!

농촌진흥청, ‘2017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가져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2017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의 하나로 진행된 가계부 분석결과 가치소비, 간편화 강세, 컬러농산물, 슈퍼곡물의 득세가 4대 농식품 트렌드라고 밝혔다.

가치소비 등외품으로 버려지던 못난이 과일의 구매액은 2012년 대비 5.1, 삼겹살에 밀렸던 돼지 앞다리는 67%가 늘었다.

이 내용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도시가구의 가계부를 분석한 결과로 8319, 농촌진흥청 종합연찬관에서 열리는 2017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에서 소개할 예정이다.

먼저, 중요한 판로로 떠오른 온라인 농식품 시장(8.8조원, 연평균 성장률 29%(20012016))의 소비자는 누구이며, 어떤 상품을 좋아하는지에 대해서 보여준다. , 40대 이하의 젊고, 아이가 있는 3인 가구, 월 소득 400만원 수준의 사람들이며, 주로 쌀 등 무거운 곡류, 보존성이 높은 가공식품, 아가용 분유와 치즈 등을 구매한다.

 

또한 경쟁이 치열해지는 온라인 시장에서, 농가가 쇼핑몰을 어떻게 운영하고 이용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구매 후 소비자 별점(만족도)’은 매출 증가에 효과가 없으나, ‘긍정적 상품평이 많으면 주문과 매출이 올라 상품후기 효과를 보여줬다. 주산지를 강조하는 상품이면 연매출 300만원(주문은 141) 증가하나, 주산지가 아닌데 지역을 강조하면 오히려 판매가 줄었다.

 

특히, 도시가구들의 가계부에서 엄선한 25품목(식량작물부터 임산물까지)의 흥미로운 구매동향도 공개한다. 쌀가공품은 밥쌀용 1인당 소비량은 201661.9kg으로 줄었으나 가공용은 201612.8kg으로 201211.2kg보다 오히려 늘었다. 또 고구마는 가격이 올라, 군고구마 장사들이 사라지고 월 소득 600만 원 이상 소비자들이 많이 즐기는 간식(다이어트식)이 된 이야기도 있다.

 

딸기는 향기와 맛으로 겨울의 소비자를 홀려, 온주밀감의 구매액을 넘어서게 된 사연(온주밀감 42,939vs 딸기 43,867)이 소개된다.복숭아는 품종의 춘추전국시대인 시장에서, ‘딱딱한복숭아와 부드러운복숭아 중 어느 것이 더 인기가 있는지가 밝혀진다. 냉동농산물은 1.4조원 시장에서 국내산 냉동과일과 채소가, 우리식탁을 얼마나 풍성하게(과일종류 7년새 2)하고 있는가가 처음 알려진다. 이와 함께 점심시간에는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신품종 농산물 모의경매도 진행된다.

 

라승용 농촌진흥청장은 생산이 소비로 직결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농산물만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시대가 됐다.”라며, “‘2017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에 참석하셔서 소비자에게서 길을 찾는 농업이야기를 들어보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