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포커스

강항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과장 "잡곡 파종에서 수확까지 기계화 박차!"

농촌진흥청, 밭작물 기계화사업 가속도 붙었다!

인터뷰... 강항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과장

농촌진흥청, 밭작물 기계화사업 가속도 붙었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13일 충남 당진에서 조, 기장, 수수 등 잡곡 기계화 기술을 소개하고 콤바인으로 수수를 수확하는 연시회를 가졌다. 잡곡은 파종, 솎음, 제초, 수확 등의 작업에서 노동 시간이 콩보다 4, 벼보다 7배 높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강항원 과장을 현장에서 만나 얘기를 직접 들어봤다.

 

-잡곡(, 수수, 기장) 재배 현황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잡곡(, 수수, 기장)의 건강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가의 새로운 소득과 고부가가치 창출원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잡곡은 원료곡 생산 위주의 소규모 영농 형태로 재배하고 있고, 잡곡 전용 파종기나 콤바인 수확기술이 개발돼 있지 않아 인력 파종이나 농기계로 땅밟기를 해 탈곡하고, 자연바람을 이용해 정선하는 실정이다. 또한, 사람이 하는 탈곡 작업은 미탈곡립의 재탈곡과 탈곡 후 재정선의 추가 작업 시간이 들어 노력비가 가중돼 전체 노동 투입 시간이 콩의 4, 벼의 7배로 높다. 최근 쓰러짐에 강하고 콤바인 수확에 알맞도록 키가 작은 새로운 품종들이 육성돼 대규모 잡곡 재배 농가가 늘고 있어 기계화율이 낮은 잡곡(, 수수, 기장) 노력비 절감을 위한 파종과 콤바인 수확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잡곡 우량종자 선별 필요성과 정선 방법은 무엇인가?

서속(黍粟)류 잡곡인 조와 기장은 한 이삭에 많은 씨알이 달려 발아율의 차이가 크므로 영농 전에 미리 우량종자를 선별해 파종하면 안정적인 발아와 생육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기장의 발아율은 60%75% 수준으로 다른 작물에 비해 낮아 선별하지 않고 파종 시 발아율 저하, 성장 및 발아율 저하, 입모(씨세우기)가 고르지 못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원인으로 일반 농가에서는 초기 입모불량으로 다시 파종하는 일이 잦으며, 안정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종자세가 높은 우량종자를 골라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량종자를 고르는 염수선 방법은 물 1에 소금 43.3g를 넣어 녹인 후 종자를 넣고 잘 저어 쭉정이 종자를 걷어내고 가라앉은 우량종자를 선별해 수분을 없앤 뒤 그늘에서 말려 종자로 이용한다. 염수선으로 고른 종자의 발아율은 비정선 종자에 비해 조 32%, 기장 14%, 수수 22%로 각각 향상된다.

 

-잡곡 재배지의 입지 조건에 따라 재배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수수, 기장 등 잡곡은 인도나 아프리카와 같은 반건조지대가 원산지인 작물로 다른 작물보다 내습성이 매우 약한 특성이 있다. 높은 이랑 재배는 배수가 나쁜 토양에서 높은 두둑을 만들어 파종함으로써 습해를 막을 수 있고 넓은 이랑 재배는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서 넓은 이랑에 재배하는 방법이나 조와 기장은 습해에 약하기 때문에 토양의 배수 조건에 따라 재배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기계 산파 재배 기술은 무엇인가?

조와 기장은 대부분 농가에서 넓은 이랑 재배, 높은 이랑 재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기계화율이 낮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 파종기로 파종하면 입모가 불균일하며 솎음작업 등 노력이 많이 든다. 파종 방법은 점파, 조파, 산파 등이 있으나 대부분 농가에서는 점파하고 이랑 높이에 따라 고휴재배와 광휴재배로 나눌 수 있다. 기계 산파 재배 기술은 동력살분무기를 이용해 10아르당 조 1kg, 기장 1.5kg의 종자를 가로, 세로 격자 방향으로 흩어 뿌리고 트랙터를 이용해 약 3cm 깊이로 얕게 로터리하는 기술이다. 종자를 얕게 파종하면 토양 수분 부족으로 발아율이 낮아지고, 너무 깊게 파종하면 싹틀 때까지 소요일수가 길어진다. 특히, 7cm 이상으로 파종하면 출현율이 급격히 감소한다. 따라서 알맞은 파종 깊이는 토양 수분이 적정한 경우 3cm 깊이좋고, 롤러를 이용해 땅을 누르거나 다지면 토양 수분 보존 효과와 포장 평탄 효과도 있다. 기계 산파 재배는 인력에 의한 파종에 비해 시간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고, 파종량을 늘려 촘촘하게 재배함으로써 키와 이삭 길이를 작게 해 쓰러짐에도 강하고 콤바인 수확이 가능하다. 기계 산파 재배는 인력 파종보다 10아르당 조는 14시간 85%, 기장은 약 16시간 86% 정도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조파(줄뿌림) 재배 기술은 무엇인가?

씨알이 작은 조와 기장과 같은 잡곡 종자의 정밀한 파종을 위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파종기로 일정한 양을 정확하게 줄뿌림할 수 있으며, 파종 양과 폭, 파종 거리를 재배 양식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 파종법은 주로 경사가 낮은 평탄지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150cm의 평두둑에 줄뿌림함으로써 4조식 콤바인 예취폭으로 한 번 주행으로 기계수확을 할 수 있어 기계 수확에 유리하다. 이 파종 기술은 기존 방법보다 수량을 약 5.3%10.2% 높일 수 있고, 인력 파종에 비해 10아르당 조는 약 12시간(73%), 기장은 약 14시간(73%) 파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수수 육묘 기계 이식 재배 기술은 무엇인가?

육묘 기계 이식 재배 기술은 종자를 직접 파종하지 않고 전용 육묘상자(트레이)1520일간 모를 길러 채소 이식기로 옮겨심는 기술이다. 이때 이랑 너비를 70cm로 만들고 포기사이를 25cm 간격으로 심으면 된다. 육묘 기계 이식 재배는 일반 종자 파종 방법보다 조류()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솎음작업을 하지 않아도 돼 파종에 드는 시간을 약 8시간(54%) 정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육묘 기계 이식 재배는 인력 점파에 비해 키가 약 20cm 정도 작게 자라 콤바인으로 수확할 수 있다.

 

-잡곡(, 수수, 기장)의 기계 수확을 위한 자탈형() 콤바인의 성능 개선과 조작은 어떻게 하나?

조와 기장은 씨알의 크기가 1.4mm1.6mm 정도로 매우 작아 기콤바인으로 수확하면 손실률이 늘기 때문에 콤바인의 기능과 조작 방법이 필요하다. 씨알 파쇄와 손실률을 줄이기 위해 기존에 장착돼 있는 탈곡망을 떼어내고 직경 6mm의 촘촘한 메쉬(그물)형태의 탈곡망을 장착한다. 탈곡드럼 회전속도는 조는 표준’, 기장은 에 고정한다. 또한, 흩날림 손실률을 줄이기 위해 배진판은 보리수확’, 배진량은 적게에 고정하고 송풍바람의 세기는 약한 위치’(2.40 m/s)에 고정하면 탈곡률과 손실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수수는 조, 기장과 달리 씨알의 크기가 2.8mm3.5mm 도로 다소 크고 알떪이 잘되기 때문에 콤바인의 탈곡망 개선 없이 기존 콤바인으로 수확할 수 있다. , 수확 시 씨알의 수분 함량이 18%20%로 높기 때문에 탈곡드럼 회전 속도는 표준에 맞추고 배진판, 배진향, 송풍세기는 벼 수확과 같게 설정하면 된다.

 

-잡곡(, 수수, 기장)콤바인 기계 수확의 효과는?

, 기장 같은 소립형 잡곡을 수확할 때 간단한 탈곡망 개선으로 탈곡 수율을 높일 수 있다. 기존 콤바인 탈곡망을 촘촘한 메쉬(그물) 탈곡망으로 바꾸면 알떪 비율이 53%에서 89%까지 높아져 재탈곡, 정선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조, 수수, 기장 등 잡곡의 콤바인 수확 기술은 대면적을 기계화 재배함으로써 생산비가 줄고 물량을 많이 확보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의 계획은?

개발한 기술들은 주요 잡곡 생산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현장 실증통해 조 3개소, 기장 2개소, 수수 2개소에 보급했으며, 앞으로 잡곡 신기술 시범사업과 주산단지 육성사업을 연계해 보급을 확대하고, 현재 34%인 잡곡의 기계화율을 2017년까지 45%로 높여 잡곡 생산 노력비도 현재 41시간/10a에서 17시간까지 줄일 수 있도록 기계화 재배 기술 연구 개발과 기술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당진=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신유통토론회...'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이사장 이동필)과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사장 원철희, 원장 김동환)은 최근 aT센터에서 ‘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제106차 신유통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방소멸시대를 맞이하여 농촌 인구 감소 현상이 지역농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개최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3년 2월 기준 소멸위험 시군구는 118곳으로, 전체 228개 시군구의 52%를 차지한다. 고령사회 진입과 청년인구 유출은 지방소멸의 중요한 원인이며, 한국의 소멸위험지역이 인구 50만의 대도시와 대도시 원도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농협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조발제에서 이동필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농촌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농협이 지역사회 발전에 중요한 행위자로 보다 적극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으며, 협동조합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지역과 조합원 수요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태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시니어이코노미스트는 ‘일본 지역농협의 대응사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