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서울우유, 필수아미노산 풍부함 내세워

‘밀크랩 고단백 저지방 우유’ 출시

밀크랩 고단백 저지방 우유출시

서울우유, 필수아미노산 풍부함 내세워

 

서울우유협동조합은 기능성우유브랜드인 밀크랩(Milk Lab)을 공식 론칭하면서 첫 제품으로 우유단백질을 강화한 밀크랩 고단백 저지방 우유를 출시했다.

이번에 선보인 밀크랩 고단백 저지방 우유는 모든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는 질 좋은 우유단백질과 칼슘을 일반우유대비 1.8배 높여 우유를 통해 양질의 영양소를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무엇보다도 우유를 통해 우유단백질을 섭취하게 될 경우 육류와 같이 별도의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단백질을 쉽게 섭취할 수 있고, 일반적인 단백질에 비해 흡수율이 높아 일상 속 영양 관리에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밀크랩 고단백 저지방 우유는 지방함량을 일반우유의 40% 수준인 1.5%로 낮춰 신체 활동에 꼭 필요한 단백질 섭취는 늘리면서 체중조절 중에도 부담 없이 마실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낮은 지방함량으로 자칫 싱거워질 수 있는 맛을 우유단백질로 채워 담백함을 더했다.

밀크랩 고단백 저지방 우유180ml, 900ml 2가지 용량으로 출시되며, 권장소비자가격은 각각 850, 3,000원이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우유마케팅팀 윤성식 팀장은 밀크랩 고단백 저지방 우유는 최근 단백질을 활용한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우유단백질을 통해 체내 흡수율이 좋은 양질의 단백질을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마련한 제품이다라며 고단백, 저지방, 고칼슘이라는 우유의 3대 장점을 두루 갖춘 우유로, 칼슘흡수촉진이 필요한 성장기 어린이, 근력 운동을 즐기는 남성, 탄력 있는 몸매를 원하는 여성, 활발한 두뇌활동이 필요한 수험생, 면역기능 강화가 필요한 시니어 등 온 가족이 두루 건강을 챙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우유단백질은 우유 전체의 3%를 차지하고 있는 영양소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해 활발한 두뇌활동에 도움을 주고, 칼슘 흡수를 촉진시켜 면역기능 강화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식물성 단백질이 가지고 있지 않은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흡수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서울우유 밀크랩은 고객에게 필요한 더 좋은 우유를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규 브랜드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기능성 우유를 선보여 나갈 계획이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3월 초부터 밀크랩 고단백 저지방’ CF를 통해 우유보다 당신을 먼저 연구합니다라는 밀크랩의 브랜드 철학을 알려 나가고 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