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고기 소비촉진 방안 모색

신종코로나로 인한 소비부진 대책 모색!, 한우유통전문가 간담회 개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소비 위축, 한우소비촉진 대안 모색
한우 소비 현황 진단, 새로운 소비트렌드에 맞춘 대책 마련

최근 1인가구 증가, 가심비 중심 등 소비시장의 변화에 따라 HMR, 배달음식 활성화, 인터넷 구매 등 소비트렌드도 빠르게 바뀌고 있어 이에 따른 한우소비촉진방안 모색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전국한우협회(회장 김홍길)는 한우소비시장 현황 분석 및 소비트렌드 파악, 소비성향에 맞춘 소비촉진 대책 마련을 위해 오는 12일(수) 오후 2시 제 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한우유통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한다.

 

김홍길 회장은 “2011년 한우사육두수가 300만두가 넘자 한우가격이 폭락하여 수많은 한우농가가 산업을 떠났다. 하지만 최근 316만두 가까이 한우사육두수가 증가했음에도 가격은 하락하지 않고,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소비트렌드가 최근에 많이 바뀌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외식 및 대형유통매장 구매가 급격히 줄어든 가운데 인터넷 구매와 배달 음식이 새로운 시장으로 자리매김함에 따라 새로운 소비시장에 맞춘 소비대책방안을 마련해야 한우소비침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고 간담회의 취지를 밝혔다.

 

또한 이번 간담회를 통해 구랍 12월 1일 변경된 쇠고기 등급제 개편에 따른 이후 가격 및 소비동향 파악, 수입육 소비 마케팅 등을 파악해 더욱 효과적인 한우마케팅 전략을 모색할 방침이다.

 

김홍길 회장은 “2020년 올 해에는 다양한 한우소비 전략을 고민해 국민의 사랑속에서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으로써의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금원, '농업재해보험' 성과보고 토론회 12월 5일 개최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오는 12.5.(금),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25년 농업재해보험 성과보고 및 발전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농작물재해보험 도입 25주년을 맞아 제도의 성과를 돌아보고, 급격히 변화하는 기후 환경 속에서 농업재해보험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부에서는 농금원 이병식 정책보험본부장이 ‘농업재해보험 사업성과와 향후 추진계획’ 발표, 고려대학교 유지상 교수의 ‘농가경영 위험관리 강화를 위한 재해지원체계 구축’, 스위스리재보험(Swiss Re) 배종국 상무의 ‘재보험시장에서 본 국내 농업재해보험 평가와 발전과제’ 등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2부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 홍석영 센터장이 ‘농림위성을 활용한 농업재해보험 사업관리 고도화 방안’에 대한 발표에 이어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한 농업재해보험의 과제’를 주제로 농식품부, 보험사, 학계,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토론에서는 심화되는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재해보험의 발전 과제에 대해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서해동 원장은 “지난 25년간 농업재해보험은 농가의 자연재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성장해 왔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금원, '농업재해보험' 성과보고 토론회 12월 5일 개최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오는 12.5.(금),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25년 농업재해보험 성과보고 및 발전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농작물재해보험 도입 25주년을 맞아 제도의 성과를 돌아보고, 급격히 변화하는 기후 환경 속에서 농업재해보험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부에서는 농금원 이병식 정책보험본부장이 ‘농업재해보험 사업성과와 향후 추진계획’ 발표, 고려대학교 유지상 교수의 ‘농가경영 위험관리 강화를 위한 재해지원체계 구축’, 스위스리재보험(Swiss Re) 배종국 상무의 ‘재보험시장에서 본 국내 농업재해보험 평가와 발전과제’ 등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2부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 홍석영 센터장이 ‘농림위성을 활용한 농업재해보험 사업관리 고도화 방안’에 대한 발표에 이어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한 농업재해보험의 과제’를 주제로 농식품부, 보험사, 학계,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토론에서는 심화되는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재해보험의 발전 과제에 대해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서해동 원장은 “지난 25년간 농업재해보험은 농가의 자연재해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성장해 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