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육우자조금위원회, 건강에 즐거움 더하는 '육우 레시피 공모전 및 쿠킹클래스'

- 우리집만의 육우요리 레시피 공모전 개최… 대상에게 1백만원 상금 수여
- 셰프의 초이스 우리 육우 온라인 쿠킹클래스 진행, 신청자 중 추첨 통해 쿠킹 박스 무료 지원

육우자조금위원회는 육우를 일상속에서 더욱 친숙하게 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레시피 공모전'을 실시한다. 


이번 레시피 공모전은 건강과 즐거움을 주는 우리집만의 육우요리 레시피를 오는 6월 16일까지 식문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글지글클럽 레시피 공모전 카테고리에 업로드하면 자동 응모되는 방식이다. 예선 기간 동안 응모된 레시피는 육우자조금위원회 관계자, 요리연구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심사를 통해 총 12팀을 결선 진출팀을 선발한다. 본선은 6월 29일 오전 11시에 강남에 위치한 한솔요리학원에서 치러진다. 


이번 공모전은 육우와 요리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대상에게는 1백만원을 비롯해 본선 진출팀 전원에게 상금이 수여된다. 뿐만 아니라 예선 참가자 중 10명에게는 추첨을 통해 육우선물세트도 증정한다. 참가 절차 및 시상 내역, 심사 기준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에서 확인 가능하다. 

 


더불어,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23일부터 31일까지 각분야 최고의 셰프들과 함께 '셰프의 초이스 우리 육우 쿠킹클래스'를 진행한다. 윤지아 셰프, 황진선 셰프, 이경호 셰프, 요리연구가 장연정씨가 각각 우리 육우의 매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4가지 요리를 소개한다. 


지글지글클럽을 통해 온라인 라이브로 진행되는 쿠킹클래스는 회차별 40명씩 참여 가능하다. 지글지글클럽 내 ‘1902 MEAT CLUB'에서 육우 관련 퀴즈를 풀고 응모할 수 있으며, 선정된 참가자에게는 육우 쿠킹박스를 클래스 전날까지 무료 배송해준다.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조재성 위원장은 “최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 덕에 지방이 적고 담백한 육우의 소비량이 부쩍 늘었다”면서 “소비자들의 사랑에 보답하고, 일상 속에서 육우를 친숙하고 즐겁게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양한 혜택을 마련해 육우의 장점을 알려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육우는 한우와 같은 환경에서 전문 고기소로 사육된 홀스타인 종 소로 사육 기간이 20~24개월로 짧아 육질이 연하고 맛이 담백하다. 또한 도축 즉시 냉장 유통되기 때문에 신선하고 지방이 적어, 식단 관리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자재값 널뛰기' 예방될 듯...농민들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급망 위험 대응을 위한 필수농자재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가결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전세계적 금융위기나 러-우 전쟁과 같은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이를 사용한 농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농가에 한시적인 재정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자재 가격이 급등한 후 취해지는 사후적인 조치에 불과해 농가의 경영불안을 해소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공급망 위험으로 가격 상승 우려가 높은 비료, 사료, 유류, 전기와 같은 필수농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조치와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담은 ‘필수농자재등지원법’을 마련하였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필수농자재등지원법’에 따라 공급망 위험으로 인해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선제적 가격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농식품부는 지방정부와 함께 농가에 필수농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자재값 널뛰기' 예방될 듯...농민들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급망 위험 대응을 위한 필수농자재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가결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전세계적 금융위기나 러-우 전쟁과 같은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이를 사용한 농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농가에 한시적인 재정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자재 가격이 급등한 후 취해지는 사후적인 조치에 불과해 농가의 경영불안을 해소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공급망 위험으로 가격 상승 우려가 높은 비료, 사료, 유류, 전기와 같은 필수농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조치와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담은 ‘필수농자재등지원법’을 마련하였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필수농자재등지원법’에 따라 공급망 위험으로 인해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선제적 가격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농식품부는 지방정부와 함께 농가에 필수농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