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육우자조금위원회, 건강에 즐거움 더하는 '육우 레시피 공모전 및 쿠킹클래스'

- 우리집만의 육우요리 레시피 공모전 개최… 대상에게 1백만원 상금 수여
- 셰프의 초이스 우리 육우 온라인 쿠킹클래스 진행, 신청자 중 추첨 통해 쿠킹 박스 무료 지원

육우자조금위원회는 육우를 일상속에서 더욱 친숙하게 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레시피 공모전'을 실시한다. 


이번 레시피 공모전은 건강과 즐거움을 주는 우리집만의 육우요리 레시피를 오는 6월 16일까지 식문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글지글클럽 레시피 공모전 카테고리에 업로드하면 자동 응모되는 방식이다. 예선 기간 동안 응모된 레시피는 육우자조금위원회 관계자, 요리연구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심사를 통해 총 12팀을 결선 진출팀을 선발한다. 본선은 6월 29일 오전 11시에 강남에 위치한 한솔요리학원에서 치러진다. 


이번 공모전은 육우와 요리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대상에게는 1백만원을 비롯해 본선 진출팀 전원에게 상금이 수여된다. 뿐만 아니라 예선 참가자 중 10명에게는 추첨을 통해 육우선물세트도 증정한다. 참가 절차 및 시상 내역, 심사 기준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에서 확인 가능하다. 

 


더불어,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23일부터 31일까지 각분야 최고의 셰프들과 함께 '셰프의 초이스 우리 육우 쿠킹클래스'를 진행한다. 윤지아 셰프, 황진선 셰프, 이경호 셰프, 요리연구가 장연정씨가 각각 우리 육우의 매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4가지 요리를 소개한다. 


지글지글클럽을 통해 온라인 라이브로 진행되는 쿠킹클래스는 회차별 40명씩 참여 가능하다. 지글지글클럽 내 ‘1902 MEAT CLUB'에서 육우 관련 퀴즈를 풀고 응모할 수 있으며, 선정된 참가자에게는 육우 쿠킹박스를 클래스 전날까지 무료 배송해준다.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조재성 위원장은 “최근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 덕에 지방이 적고 담백한 육우의 소비량이 부쩍 늘었다”면서 “소비자들의 사랑에 보답하고, 일상 속에서 육우를 친숙하고 즐겁게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양한 혜택을 마련해 육우의 장점을 알려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육우는 한우와 같은 환경에서 전문 고기소로 사육된 홀스타인 종 소로 사육 기간이 20~24개월로 짧아 육질이 연하고 맛이 담백하다. 또한 도축 즉시 냉장 유통되기 때문에 신선하고 지방이 적어, 식단 관리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