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 송아지 가격 몇 월에 가장 비쌀까?

잇소 정보 공유 콘텐츠 농가들 사이 폭발적인 관심

한우 농가들의 앱 ‘잇소’에서 발행한 정보 공유 콘텐츠 중 하나인 ‘한우 송아지 가격 몇 월에 가장 비쌀까?’가 최근 게시물 조회수 1만회를 돌파하며 농가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해당 콘텐츠는 2014년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가축시장의 월별 암·수 송아지 평균가격을 순위 매겨 비교한 자료로써 내용에 따르면 송아지 가격이 1년 중 가장 비싼 달은 9월, 가장 저렴한 달은 1월이었다. 분만 두수가 적은 겨울에 태어난 송아지가 거래되는 시기인 여름이 높은 가격을 보였으며 분만이 몰리는 봄에 태어난 송아지가 거래되는 시기인 겨울에는 가격이 떨어지는 동향을 보였다.

본문에는 2018년도의 송아지 가격을 예시로 들며 가격이 비싼 9월과 비교적 저렴한 3월, 12월의 송아지 가격 차이는 두당 30만원 이상 나기 때문에 번식 농가와 비육 농가 모두 송아지 판매·구매 시기를 농장에 맞게 전략적으로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농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보고 “마냥 겨울 분만을 피하는 것도 정답은 아닌 것 같다”, “생각으로만 느꼈던 내용을 데이터로 보니 좋다”, “좋은 정보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잇소는 해당 콘텐츠 이외에도 ‘번식우 50두 키우면 연봉 얼마일까?’, ‘한우농가가 꼭 알아야 할 바뀌는 쇠고기 등급제 핵심 3가지’ 등의 인기콘텐츠들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한우 농가들의 앱 ‘잇소’, 또는 잇소의 네이버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