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치아 건강에 도움 되는 우유, 변색 방지 및 충치 예방에 효과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가 치과 전문 신문사 ‘Dental Tribune’에 기재됐던 우유가 치아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는 내용을 공개했다. 특히 커피, 홍차에 우유를 타서 마실 경우, 치아 변색 방지는 물론 어느 정도의 미백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치아가 변색되는 대부분의 이유는 음식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 레드 와인, 초콜릿, 커피, 홍차 등 색이 진한 식품들은 치아 변색을 유발한다. 담배도 치아 변색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다. 담배 속 니코틴이 치아의 미세한 구멍을 파고들고 표면에 달라붙으면 치아가 변색될 수 있다. 또한, 치아 특성 때문에 누렇게 변색될 수도 있다. 사람의 치아는 투명한 법랑질이 연노란색 상아질을 감싸고 있다. 상아질이 두껍거나 나이가 들어 법랑질이 닳은 경우 치아가 노랗게 보일 수도 있다. 


커피나 홍차 같은 음식이 원인이라면 우유로 치아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우유는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마시는 음료 중 하나로 보통 뼈 강화, 성장 등에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치아 변색 방지는 우유 안의 카제인 성분에 기인한다. 카제인은 우유 단백질 중 하나로 치아 미백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카제인은 미세한 세포 수준에서 치아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치아에 붙은 색소나 침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치아 미백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커피, 홍차 등 치아 변색을 유발하는 음료를 자주 마신다면 우유를 소량 섞어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우유는 치아 건강에도 효과가 있다. 우유와 유제품에는 치아 구조를 강화하는 칼슘과 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칼슘은 뼈와 치아를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으로 충분한 칼슘 공급은 뼈의 강화와 성장에 필수적이다. 또한 칼슘은 치아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여 충치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아울러 우유 속에는 단백질도 풍부하다. 단백질은 잇몸 조직을 강화하고 치아 주변 조직 건강에 이로운 영향을 미친다. 


또 우유에는 락토페린, 발효유의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와 같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은 충치의 원인이 되는 유해 세균의 과도한 번식을 억제하여 구강 내 세균 밸런스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우유 속 락토페린은 치아 표면을 보호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고 갈락토스 성분은 치주질환 유병률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우유를 마시는 것은 치아 건강을 유지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우유는 뼈를 강화하고 성장을 촉진할 뿐 아니라 치아 변색과 건강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며 "우유 한 잔만으로도 다양한 성분이 치아 변색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