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팜스코 ‘정화농장’ 우수 농장의 날

한우농가, 미경산우 1++ 70%‧도체중 410kg‧두당 945만원 비결(?)

(주)팜스코(대표 정학상)412일 장흥 군민회관에서 정화농장 우수 농장의 날행사를 실시했다. 한우농가 300여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는 정화농장의 우수성적을 소개하고 그 비결을 농가와 함께 공유했다. 서부3사업부의 홍열 사업부장의 의미 있는 환영으로 필드데이 시작을 알렸다. 이후 정창민 지역부장의 시장 상황 및 정화농장 소개가 있었다.

미경산우는 새로운 기회 입니다. 지난 228일 팜스코 고객이 김해 축공에 지육 최고가 40,000/Kg을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무려 1,500만원을 받았습니다. 정말 대단한 가격 입니다. 그렇지만 더 놀랄만한 사실은 그 경매를 받은 정육점 사장이 좋은 제품을 만들면 45,000/Kg 이상도 지불하겠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미경산우 시장에 최적합한 파트너도  팜스코 축우팀이다는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면서 차별성을 부각하였다.

정화농장은 지난해 56두 미경산우를 출하하여, 1++ 70%, 1+ 이상 94.6%, 평균 경락 단가 23,075/Kg, 도체중 410kg 두당 판매가 9,460,750원을 수취하여 참석한 모든 사람을 놀라게 하였다.

 

이어, 구영기(김해축공)팀장이 전남에서 좋은 소들이 많이 올라와 시세가 계속 좋아지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좋은 소들을 납품해 달라고 부탁 했습니다. 아울러 높은 가격을 쓰는 중도매인들도 계속 늘어나, 좋은 소만 만들면 높은 가격 수취는 어렵지 않습니다.

 

이어 주인공 정화농장의 김점중 사장의 소감을 들었다. 김점중 사장은 전남 수정사협회 회장을 역임할 정도로 개량과 육종에 전문가이다.

"개량과 육종에 포커스를 맞춰 좋은 소를 만들려고 노력했으나, 그 것보다 정말 중요한 것은 영양 이었습니다. 팜스코 사료는 원료 선별이 훌륭하고, 사료 열량이 높아 미세 마블과 등심 단면적에 최적화 되어 있는 사료입니다. 또한 서비스가 훌륭하여 저의 든든한 동반자 입니다." 라며 팜스코 축우팀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끝으로 노경탁 사료사업본부장은 정화 농장이 팜스코와 더불어 좋은 성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앞으로도 팜스코 임직원들은 사장님들의 수익을 위해 더욱더 노력하겠습니다.’” 라며 고객을 위한 가치활동 및 고품질의 사료를 공급할 것을 다짐하였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만감류 재배도 스마트하게... ‘편의성! 생산성!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11일 제주시 ‘과수 스마트팜 시범농가’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관을 격려했다. 과수 스마트팜 기반조성 시범 사업은 전국 7개 시군에서 시군당 5,000만 원, 총 3억 5,000만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서부농업기술센터가 만감류 농가 5곳에 자동관수 시스템과 공기 순환팬, 온·습도 제어용 기상 감지기, 환경 점검을 위한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설치해 스마트팜 기반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감귤 스마트팜은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천·측창 등을 원격 제어하는 1세대 스마트팜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개발과 지원으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수준까지 개선됐다. 제주 농가에 설치한 장비는 핸드폰, 컴퓨터로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농가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상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현 부장은 “만감류 스마트팜 사례는 자동제어 기술이 시설 과수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라며 “앞으로 기상 점검, 병해충 진단 등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영농 전 과정의 스마트화 구축에 최선을 다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만감류 재배도 스마트하게... ‘편의성! 생산성!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11일 제주시 ‘과수 스마트팜 시범농가’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관을 격려했다. 과수 스마트팜 기반조성 시범 사업은 전국 7개 시군에서 시군당 5,000만 원, 총 3억 5,000만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서부농업기술센터가 만감류 농가 5곳에 자동관수 시스템과 공기 순환팬, 온·습도 제어용 기상 감지기, 환경 점검을 위한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설치해 스마트팜 기반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감귤 스마트팜은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천·측창 등을 원격 제어하는 1세대 스마트팜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개발과 지원으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수준까지 개선됐다. 제주 농가에 설치한 장비는 핸드폰, 컴퓨터로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농가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상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현 부장은 “만감류 스마트팜 사례는 자동제어 기술이 시설 과수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라며 “앞으로 기상 점검, 병해충 진단 등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영농 전 과정의 스마트화 구축에 최선을 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