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산물HACCP 교육

HACCP인증원, 축산물HACCP 교육 본격 운영 나서

축산물HACCP 교육

HACCP인증원, 축산물HACCP 교육 본격 운영 나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장기윤, 이하 HACCP인증원)118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청소년수련관에서 축산물 가공유통 HACCP 경영인과정(정기)’을 시작으로 2018년 축산물HACCP 교육을 본격 실시했다.

 

2018년 축산물HACCP 교육은 ’17년도 교육운영 결과 분석을 통해 나타난 교육생 현황 등을 고려하여 전년대비 4, 400명이 증가된 교육횟수 55, 교육정원 4,530명으로 편성되었다

 

특히 가장 수요가 많았던 축산물 가공유통HACCP 경영인과정의 경우 지난해 보다 4, 400명을 증가한 연 28, 2,800(1회당 100)으로 편성하는 등 교육 수요자의 선호 및 필요도를 적극 반영하였다.

 

또한 HACCP인증원은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강화를 위해 충북 오송의 본원 1층에 마련 중인 HACCP체험관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4월부터 시작하는 전문 교육과정에는 현장 Auditing 프로그램 과목 등을 개설하는 등 HACCP에 대한 이론과 실습교육 등이 병행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농번기, 가축질병 발생, 브랜드 및 농가 단체인증 등 시기와 지역별 특이사항을 반영한 찾아가는 교육 서비스인특별교육을 연중 운영할 예정이다.

 

장기윤 원장은 축산물HACCP 교육이 축산업계 영업자 및 종사자들의 위생수준 향상과 전문성 확보를 목표로 실제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HACCP인증원의 축산물HACCP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